중국과 유럽연합(EU)이 오는 24일 중국에서 정상회담을 연다고 중국 외교부가 밝혔습니다.
중국 외교부는 오늘(21일) 홈페이지를 통해 "중국-EU 양측의 합의를 거쳐 안토니우 코스타 EU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이 24일 중국을 방문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중국 외교부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코스타 의장과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을 만나고, 리창 총리가 EU의 두 의장·위원장과 함께 제25차 중국-EU 지도자 회담을 공동 주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전 세계적 관세 전쟁 속에 열리는 이번 정상회담은 수교 50주년을 맞은 중국과 EU 관계를 개선하는 중대 계기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습니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계속되는 EU의 중국산 전기차 고율 관세 부과와 중국의 유럽산 브랜디에 대한 반덤핑 관세 보복 등 통상 갈등이 지금까지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이번 회담에 대한 기대치도 크게 낮아진 상황입니다.
당초 24∼25일 이틀이었던 EU 정상들의 방중 일정도 24일 하루로 축소됐습니다.
EU는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무기화'하고 있다고 여러 차례 불만을 표출해 왔으며, 중국은 EU에 전기차 추가 관세 해제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두고도 양측 간 입장 차는 명확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달 초 왕이 외교부장 겸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이 카야 칼라스 EU 외교안보 고위대표와의 회동에서 러시아가 전쟁에서 패배하면 미국의 초점이 중국으로 옮겨갈 수 있어 '러시아의 전쟁 패배를 감당할 수 없다'는 취지로 말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칼라스 고위대표는 어제 공개된 일본 NHK방송과 인터뷰에서 왕 부장이 관련 발언을 했다고 인정하면서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EU는 또한 지난 18일 러시아에 대한 제18차 제재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면서 제재 우회를 지원한다는 이유로 중국 은행 두 곳과 기업 다섯 곳도 제재 대상에 올렸습니다.
이 가운데 은행 두 곳은 이번에 처음 제재 명단에 포함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중국 상무부는 이날 홈페이지에 문답 형식으로 올린 입장문에서 "EU는 제18차 대러시아 제재에서 일부 중국 기업을 계속 목록에 포함시키고 '날조된' 혐의로 2개 중국 금융기관을 제재했다. 중국은 이에 강한 불만을 표하며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상무부는 이어 EU의 제재가 "중국-EU 경제무역 관계와 금융 협력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중국은 필요한 조치를 취해 중국 기업과 금융기관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권익을 단호히 수호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런 분위기 탓에 양측 정상회담 공동성명 채택 여부가 불투명하고, 발표되더라도 기후 분야에 국한된 짤막한 성명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