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여름까지 핵 협상 진전 없으면 제재 복원"…유럽, 이란에 경고

"여름까지 핵 협상 진전 없으면 제재 복원"…유럽, 이란에 경고
▲ 6월 이란 핵협상 관련 발언하는 유럽 외교수장들

영국과 프랑스, 독일이 이란에 대해 이번 여름이 끝나기 전까지 핵 협상에 진전이 없으면 유엔의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겠다고 경고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프랑스 외무부는 유럽 3개국(E3)과 유럽연합(EU) 외교관들이 어제(17일)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에게 "여름이 끝날 때까지 구체적인 진전이 없으면 '스냅백' 메커니즘을 사용할 결의가 있다고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스냅백은 2015년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에서 이란이 약속한 핵프로그램을 동결·제한하지 않으면 유엔 제재를 복원하기로 한 단서 조항입니다.

이 스냅백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전원이 동의하지 않아도 가동할 수 있습니다.

이란에 우호적인 러시아와 중국의 거부권을 무력화하도록 설계됐습니다.

핵 합의에 서명한 이들 유럽 3개국은 "이란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강하고 검증 가능하며 지속 가능한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지체 없이 외교 경로로 돌아가는 것이 시급하다는 점에서 이란을 압박하고 있다"고 프랑스 외무부는 설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아락치 장관은 엑스(X·옛 트위터)에서 "EU/E3(EU와 유럽 3개국)가 역할을 원한다면 책임감 있게 행동하고 위협과 압박의 낡은 정책을 버려야 한다"며 "특히 스냅백 조치는 도덕적·법적 근거가 전혀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새로운 협상은 상대방이 공정하고 균형 잡힌, 상호 이익이 되는 핵협상이 준비됐을 때만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란 핵 합의가 제대로 지켜졌다면 핵 합의가 타결된 지 만 10년이 되는 오늘(18일) EU와 유엔의 대이란 제재는 영구 종결될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나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가 핵 합의를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해 핵 합의가 사실상 효력을 잃게 됐습니다.

EU와 유엔의 대이란 제재는 핵 합의에 따라 지난 10년간 형식적으로나마 유예됐지만 미국의 제재가 사실상 국제적 제재일만큼 강력해 이들 유럽 3개국이 스냅백 절차를 개시해도 현 상황에 큰 변화는 없습니다.

지난 4월 시작된 미국과 이란의 핵 협상은 지난달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충돌, 뒤이은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으로 중단됐습니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