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의 복심으로 불려온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16일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복심으로 불려온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오늘(16일) 순직해병특검에 출석했습니다.
강 전 부속실장은 오늘 오후 2시쯤 서울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했습니다.
그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회의에서 격노했다는 사실을 들은 바 있나", "윤 전 대통령이 초동 수사 결과 관련해 지시한 바 있나", "수석비서관 회의 이후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과 여러 차례 통화한 이유가 무엇인가" 등 취재진 질문에 아무 말도 하지 않고 특검 사무실에 들어갔습니다.
강 전 실장은 검찰 수사관 출신으로, 윤 전 대통령이 검찰총장이던 시기 비서관을 지낸 측근입니다.
윤 전 대통령이 대통령에 당선되자 검찰 사직 후 대통령실로 옮겼습니다.
강 전 실장은 이른바 'VIP 격노설'이 처음 제기된 2023년 7월 31일 대통령 주재 외교안보 수석비서관회의에 직접 참석하지는 않았지만, 당일 임 전 비서관과 당일 여러 차례 통화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특검팀에 소환됐습니다.
임 전 비서관은 윤 전 대통령이 회의에서 격노했다는 사실을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전달한 인물로 의심받는 인물입니다.
특검팀은 강 전 실장이 윤 전 대통령을 직접 보좌하는 위치에 있었던 만큼, 채 상병 사망 직후부터 수사 등 일련의 과정에서 대통령실의 개입 여부에 관해 전반적으로 조사할 방침입니다.

한편, 채 상병 사망사건 초동 조사 당시 수사 외압을 폭로했던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도 그보다 조금 앞선 같은 날 오후 1시쯤 순직해병특검에 출석했습니다.
그는 "'VIP 격노설'에 대해 "설(說)이 아니라 사실로 규명이 됐으니 모든 것이 제대로 밝혀질 것"이라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가 시작점이었다"고 밝혔습니다.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이 약 2년 만에 'VIP 격노설'을 인정한 것에 대해서는 "결국 진실은 모두 밝혀지고 사필귀정이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오는 19일이 채상병 2주기라는 점을 언급하며 "아직 그 죽음이 왜 일어난 것인지, 죽음에 누가 책임이 있는지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는 현실이 답답하다"면서도 "특검에서 여러 사실을 밝히고 있고, 책임이 있는 자들이 상응하는 법적 책임을 받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했습니다.
박 대령은 참고인 신분입니다.
변호인단도 동행했습니다.
특검팀은 오늘 박 대령이 김계환 전 사령관으로부터 전해 들었다는 'VIP 격노설' 내용을 비롯해 채상병 사건 초동 수사기록의 이첩·회수 과정 전반을 확인할 방침입니다.
VIP 격노설은 윤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대통령실 회의에서 채 상병 사건 초동 조사 결과를 보고받은 뒤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며 '격노'했고, 이후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전화로 질책하면서 조사 결과를 바꾸게 했다는 의혹입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