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이진숙 후보, 제자 논문 가로채기? "연구 수주한 제가 제1 저자 당연" [스프]

이진숙
'고립무원(孤立無援)'이라고 느꼈을 법합니다. 전국 11개 교수단체로 구성된 범학계국민검증단에 이어 전교조와 서울교사노동조합으로부터 자진 사퇴를 요청받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오늘(16일) 국회 인사청문회장에 섰습니다. 제자 학위 논문을 가로채 자신을 제1저자로 표기했고, 중학생 딸을 미국 사립학교에 유학시키면서 실정법을 위반했다는 연이은 논란에 첫 질의에 나선 여당 의원도 솔직한 사과부터 채근했습니다.
진선미 | 민주당 의원
먼저 저희가 국민적 관심사가 아무래도 자녀 유학과 또 논문 문제입니다. 그래서 그것을 먼저 좀 해명을 들어야 되는 자리라는 생각이고요. 후보자께서 그 부분에 대해서 송구하다 사죄를 하셨는데 어쨌든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 국민의 눈높이에서 우려되는 부분들 또 규정 위반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 솔직하게 사과를 하고 시작하시는 게 좋을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이진숙 후보 (사진=연합뉴스)
이 후보자는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게 의혹들이 생긴 것에 대해서는 진심을 사죄드립니다라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야당 의원들의 질의가 진행되면서 할 말은 하겠다는 의사는 분명히 했습니다. 특히 논문 저자 표기 부분은 오탈자를 그대로 가져온 실수는 있었을지언정 윤리 위반은 아니라고 잘라 말했습니다.

제자 논문인데 교수가 제1저자?.."연구 수주한 제가 제1저자 당연"

이진숙 후보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은 최소 10편의 제자들 석박사 학위 논문에서 이 후보자가 자신을 제1저자로 등재했다고 거론했습니다.
김대식 | 국민의힘 의원
제자들의 논문을 오자, 탈자 하나도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베끼면 이 제자들은 어떻게 됩니까? 본인이 주저자가 되면 이 석사 박사학위가 무효가 되는 겁니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라는 지적이 이어지자 이 후보자는 이공계 연구의 경우, 프로젝트를 수주한 교수 자신이 제1저자가 되는 건 당연한 일이이라고 맞섰습니다.
이진숙 | 교육부 장관 후보자
대부분의 연구가 학생이 학위 논문을 하기 전에 제가 연구 국가 연구 프로젝트로 수주해서 연구 책임자로 수행했던 연구들입니다. 그러니까 제1저자가 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었고요.

그런데 앞서 이 후보자의 논문 150편을 살펴본 범학계국민검증단은 "교수 기여가 크다고 하더라도 학위 논문은 철저히 학생의 것이며 같은 주제 논문의 제1저자로 교수를 실은 건 아이디어를 탈취했다는 것"이라고 정면 비판했습니다. 또 "이런 행위가 반복될 경우 실질적으로 학생은 자신이 논문을 직접 쓰지 않았음을 인정하는 셈이 돼 학문적으로 법적으로 매우 중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럼 연구노트는요?" "학생들이 쓰고 저는 수첩에 기록"

이진숙 후보 (사진=연합뉴스)
이 후보자가 주장하는 본인의 기여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놓고 청문회에서 구체적인 문답도 오갔습니다.
김민전 | 국민의힘 의원
제가 좀 질문을 드리고 싶은데요. 본인이 직접 실험을 하셨다 이런 뜻이세요?

이진숙 | 교육부장관 후보자
실험의 기본적인 피험자하고 같이 이렇게 기계적인 실험을 하는 것까지는 제가 입회도 많이 했지만 그 과정은 학생들이 주로 수행을 했습니다.

김민전 | 국민의힘 의원
국가 과제의 경우에는 연구 노트를 30년간 보관하도록 되어 있지 않습니까? 본인이 직접 연구 노트를 쓰셨어요?

이진숙 | 교육부장관 후보자
당연히 학생들이 연구 노트를 쓰고요. 저는 수첩에 그런 연구를 다 저장을 해서 기록합니다.

자녀 유학비용 어떻게 감당했나?.."교수로 저축해서 모든 게 전부"

이진숙 후보 (사진=연합뉴스)
두 딸을 미국 사립 기숙학교로 유학 보낸 후보자가 초중등 공교육 강화를 이끌 교육부 장관으로서 영이 서겠느냐는 비판에는 이 후보자는 청문회 곳곳에서 몸을 낮췄습니다. "부의 세습이 교육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할 정도의 시대 상황"으로 규정한 이 후보자의 과거 인터뷰 내용도 소환됐습니다.

학비와 기숙사비, 생활비를 어떻게 감당했는지를 놓고는 자료 제출 요구와 설전으로 번졌습니다.
서지영 | 국민의힘 의원
두 분의 자녀가 고등학교 3년 학비는 아까 말씀드렸지만 현재 2025년 기준으로 6억 2천만 원입니다. 교육부 답변을 보니까 두 딸 학사 과정까지 학비 지원했고 생활비 지원했고 생활비는 석사 과정까지 지원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 아마도 추정컨대 10억에서 15억 정도의 고등학교, 대학교 학비를 지원하셨을 겁니다.
이진숙 | 교육부장관 후보자
기숙학교의 학비가 학비를 포함해서 생활비 모두를 포함해서 그런 액수였고 지금 위원님께서 제시하신 한 2분의 1 가격으로 저는 2006년도에 보냈다고 기억하고 있습니다. 36년간 교수 생활 성실히 했습니다. 주식도 산 적이 없고 집도 몇 채씩 사서 그런 것도 없었고 그냥 성실하게 교수해서 아이들 가르치고 저축하고 그렇게 해서 살아온 게 다입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