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무인기 목표는 김정은 관저"…드론사 등 압수수색

<앵커>

지난해 10월, 북한 평양 상공의 무인기는 우리 군이 보낸 것이었고, 무인기의 목표 지점은 김정은 관저였다는 주장이 여당 지도부에서 나왔습니다. 이런 가운데 내란 특검팀이 드론사령부와 국방부를 전격 압수수색했습니다.

김태훈 국방전문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0월 9일 새벽 1시쯤.

평양에 있는 노동당 본부청사 상공에 나타난 무인기를 찍은 거라며 북한이 공개했던 사진입니다.

민주당 최고위원인 김병주 의원이 복수의 드론작전사령부 관계자들의 증언이 근거라면서 당시 드론사의 무인기가 북한에 침투했던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무인기가 대북전단을 투하하려고 한 목표 지점은 김정은의 숙소로 알려진 15호 관저였다고 덧붙였습니다.

[김병주/민주당 의원 : 15호 관저는 김정은의 생모가 거주했던 숙소이자, 김정은이 어린 시절을 보냈던 곳입니다.]

'15호 관저'는 무인기가 발견됐다는 노동당 본부청사와 같은 구역에 있습니다.

북한 권력의 심장부에 대북전단을 떨어뜨림으로써 북한의 군사적 대응을 유도하려 한, 외환 유치 행위였다는 주장입니다.

드론사가 지난해 3차례에 걸쳐 무인기 7대를 북으로 날려 보낸 사실도 구체적으로 확인됐다고 김 의원은 강조했습니다.

1차로 10월 3일 새벽에 2대, 2차로 10월 8일 밤부터 9일 새벽에 4대를 북으로 보냈는데, 이때 1대가 평양에서 추락했다는 겁니다.

1, 2차 작전 모두 목표 지점은 15호 관저 인근이었다고 김 의원은 밝혔습니다.

3차는 11월 13일 저녁에 보낸 1대로 목표 지점은 남포시 일대였는데, 북한의 반발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군과 해군 기지가 밀집한 지역이라고 김 의원은 설명했습니다.

김 의원의 주장에 대해 합참은 "군사 작전의 사실 관계를 밝히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입장입니다.

이런 가운데 내란 특검은 드론사의 경기도 포천 본부와 백령도 예하 부대, 사령관 자택, 국방부 정보본부 등 24곳에 대해 동시다발적으로 압수수색을 벌였습니다.

무인기 작전이 계엄 선포 명분 조성용이었는지, 작전 지시에 윤석열 전 대통령이 개입했는지 등에 압수수색의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영상취재 : 박진호, 영상편집 : 유미라, 디자인 : 이준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