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증막 같은 열기를 참지 못하고 일부 승객들이 윗옷을 벗어버렸습니다.
탈선사고로 기차가 멈추면서 냉방까지 중단됐습니다.
한여름 폭염에, 창문도 출입문도 닫힌 밀폐 상황이 3시간 넘게 이어졌습니다.
[기차 승객 : 곧 해결된다더니 벌써 서너 시간이 지났어요.]
기차 문을 열어 환기라도 하자는 요청엔 규정상 안된다는 답만 돌아왔습니다.
[기차 승객 : 어질어질하고 못 견디겠어요. 이렇게 사람이 많은데 왜 출입문을 못 여나요?]
열차 내 온도가 38도, 습도는 80%에 달해 일부 승객들이 어지러움과 구토증상을 호소했고, 결국 참다 못한 한 승객이 승무원의 만류에도 비상망치로 창문을 깨기 시작합니다.
[기차 승객 : 잘한다. 영웅이네 영웅이야.]
공항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습니다.
탑승구에서 비행기 앞까지 승객을 옮기는 버스가 멈춰 섰는데, 문이라도 열어달란 항의가 쏟아집니다.
[공항 버스 이용객 : 사람이 이렇게 많은데 왜 문을 안 열어요. 당신이 한번 버스에 타 봐요. 노인이 기절하면 어떻게 해요. 아이도 있어요.]
활주로 대기가 길어지자 고통을 호소하지만 응답이 없습니다.
[공항 버스 이용객 : 버스 문을 안 열었고, 에어컨도 안 켜져 있었어요. 운전사가 열쇠를 갖고 차에서 내려버렸어요. 거의 20분 동안, 어떤 사람들은 쓰러질 지경이었죠.]
실신해 쓰러진 사람까지 나오고,
[공항 버스 이용객 : 급해요 급해. 구급차 불러요.]
결국 승객이 비상망치로 유리창을 깨고 강제로 문을 열었습니다.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도 규정만 내세우는 철도와 공항 당국의 태도에 정작 폭염보다 무사안일의 경직된 공급자 시각이 더 문제란 비판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취재: 정영태, 영상취재: 최덕현, 영상편집: 윤태호, 영상출처: 웨이보 더우인,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