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50% 관세' 맞은 브라질, 긴급 국무회의…대책 마련 고심

'50% 관세' 맞은 브라질, 긴급 국무회의…대책 마련 고심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브라질산 제품에 50%에 달하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한 것과 관련해, 브라질 행정부가 긴급 국무회의를 열고 대책 마련에 들어갔습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현지시각 10일, 대통령궁에서 긴급 국무회의를 주재했습니다.

현지 매체 등에 따르면, 룰라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부처별로 대응책을 조정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조처를 곧바로 발표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초고율 '관세 폭탄'을 맞게 된 브라질이 국가 경제에 미칠 충격파 완화를 위한 범부처 비상대책 마련에 나섰다.

대응책 우선순위로는 미국과의 직접 협상을 통한 관세율 조정,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지난 4월 룰라 대통령이 서명한 경제 호혜주의 법에 따른 양자 무역협정 효력 중단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브라질 당국은 특히 미국의 관세 부과를 논리적으로 반박하기 위해 국제사회의 여론을 환기하기 위한 카드도 검토하는 분위기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브라질은 20여 년간 미국과의 교역에서 발생한 누적 적자 규모가 900억 달러(한화 약 123조 원)를 웃도는 상황에서 '불공정 무역국' 누명을 쓴 만큼, 50%에 달하는 고율 관세가 부당하다는 걸 널리 알리겠다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홈페이지를 봐도 지난해의 경우 미국과 브라질 간 교역액은 920억 달러(126조 원 상당)로 추산되는데, 미국은 74억 달러(10조 원 상당)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브라질에 대한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커피나 오렌지주스, 설탕, 쇠고기 등 필수 식료품에 대한 미국 내 공급가를 높여, 중장기적으로 미국 물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