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방위비까지" 복잡해진 협상 방정식…우리 정부 대응은

<앵커>

이번에는 대통령실 연결해 우리 정부 입장 알아보겠습니다.

강민우 기자, 트럼프 대통령의 방위비 문제까지 꺼내면서 정부가 좀 복잡해졌을 것 같은데 어떤 입장이 나온 게 있습니까?

<기자>

사흘 전 미국 방문길에 올랐던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조금 전 귀국하면서 이런 말을 했습니다. 먼저 들어보시죠.

[위성락/국가안보실장 : 방위비는 우리가 1조 5천억 내고 있다는 건 사실이니까, 사실관계에서 출발을 해야겠죠. 그 외에도 우리가 직간접적으로 내는 방위 지원금이 많이 있고.]

그러면서 위 실장은 "가급적 국제적인 흐름에 따라 늘려가려고 하고 있다"고 말했는데요.

한국이 주한미군 주둔 비용을 너무 적게 내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사실과 다르다면서도, 방위비를 늘릴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해석됩니다.

위 실장은 미국과 통상이나 투자 안보를 패키지로 협의하자고 논의했고 미국도 공감을 표시했다고 전했습니다.

<앵커>

또, 미국 측에서는 "관세 협상의 성과가 있어야 한미 정상회담이 가능하다" 이런 말도 나오는 것 같던데, 여기에 대해서는 정부가 뭐라고 합니까?

<기자>

관세와 방위비라는 거대 협상 의제가 동시에 테이블에 올라온 셈이죠.

그래서 양국 정상의 만남 여부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는데, 위성락 실장은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 필요성에는 두 나라 모두 공감대를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구체적인 시점은 조율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관세 협상 시한인 다음 달 1일 전 정상회담 개최를 단정 지어 말할 수 없는 상황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위 실장은 협상의 모든 관건이 정상회담에 달려 있지는 않다면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야 하고 진행 상황에 따라 다른 변수를 생각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정부의 궁극적 목표는 관세를 최소화하는 것이라고 했는데요.

정상회담 일정을 여러 가지를 고려해 협의를 하겠다고 위 실장은 말했습니다.

(현장진행 : 이병주, 영상취재 : 최준식, 영상편집 : 최진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