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미국이 각국에 책정한 상호관세의 유예기간만료 시한인 오늘(8일)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실상의 협상 기간 연장과 관세율 인상 등 양 갈래 메시지를 동시에 던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3일 오후부터 4일 새벽 아이오와주를 다녀오는 길에 기자들에게 4일부터 상호관세율이 적시된 서한을 각국에 발송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당장 4일에 10∼12개국에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대한 상호관세를 지난 4월 2일 책정한 뒤 같은 달 9일 시행에 들어갔으나 곧바로 이를 90일 유예했고, 유예 만료 시점을 시한으로 삼아 각국과 관세율, 무역균형, 비관세 장벽 철폐 등을 둘러싼 무역 협상을 진행해 왔습니다.
다만 지금까지 지난 80여 일간 합의를 도출한 나라는 영국과 베트남 뿐인 상황인 만큼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에 '협상의 시간'이 거의 끝나고 '통보의 시간'이 왔음을 알린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돈이 미국에 8월 1일에 들어오기 시작할 것"이라며 상호관세 유예기간이 끝나는 직후인 9일이 아닌 내달 1일을 상호관세 발효 시점으로 제시한 점도 주목할 만한 부분입니다.
상호관세 유예를 공식적으로 연장하진 않더라도 8월 1일 발효시점까지 기간인 3주 정도를 계산하면 실질적으로 미국과 무역 상대국 간 협상의 시간을 늘리는 결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입니다.
상호관세 시행이 미국 소비자들의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결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관세가 '양날의 검'인 측면이 있습니다.
높은 상호관세율을 부과하는 것보다, 상호관세율을 낮추는 대신 상대국의 비관세장벽을 완화하고, 미국산 수입을 늘리도록 하는 것이 낫다는 판단 아래 마지막 협상의 시간을 7월 말까지로 늘리려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일 수 있는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결국 각국에 상호관세율을 통보함으로써 압박 강도를 최대치로 높인 상황에서 7월 31일까지 최종 협상의 문을 열어 두겠다는 의중인 것으로 해석됩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