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산경찰서
유명인이나 공공기관 등을 사칭해 대량 주문을 유도하거나 금전을 편취한 뒤 종적을 감추는 이른바 '노쇼(No-Show) 사기' 범죄가 최근 전국에서 잇따르는 가운데 경남 지자체 공무원을 사칭한 범죄도 발생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18일 양산경찰서에 따르면 이달 들어 지역 내 노쇼 사기 사건 3건을 접수했습니다.
전날 양산시청 공무원을 사칭한 A 씨가 물품 소매업자 B 씨에게 전화를 걸어 "감사 때문에 그러니, 심장충격기 도매업체에서 심장충격기를 대량으로 대신 구매해 시청에 납품해주면 추후 결제 대금을 보내겠다"고 요청했습니다.
이에 B 씨는 심장충격기 도매업체에 5천만 원을 송금했습니다.
그러나 B 씨는 양산시청을 통해 심장충격기 구매를 요청한 사실이 없음을 인지하고 뒤늦게 사기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경찰은 지난 16일 지역 내 우산업체와 농업용 비닐 판매업체에도 양산시 공무원을 사칭한 노쇼 사기가 시도됐으나, 이들 업체는 직접적인 피해는 보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창원시 공무원을 사칭한 노쇼 사기 시도도 수 차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지난 17일에는 한 페인트업체가 진해구 행정과 주무관을 사칭한 범인으로부터 심장 제세동기 구입 대금을 먼저 대신 지급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실제 5천만 원을 송금하는 피해를 보기도 했습니다.
이밖에도 시청 여러 부서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사칭해 물품을 주문하거나 식당 예약을 했다가 연락을 끊은 사례가 여러 차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밀양에서도 비슷한 시기 가짜 공무원증과 명함을 제시하며 지역 내 가구·사무기기 업체 등에 계약을 빙자한 선금을 요구했다는 사례가 이어졌습니다.
이같은 기관 사칭 노쇼 사기 범죄와 관련해 각 지자체는 업체 등이 유사 피해를 겪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양산시 관계자는 "공무원을 사칭해 가짜 명함과 허위 공문을 만들어 대량 주문을 한 뒤 연락을 끊는 수법이 발생하고 있다"며 "평소와 다른 예약이 들어올 경우 반드시 해당 기관이나 부서에 사실 여부를 확인해 달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