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찰이 비상계엄 사태 이후 처음으로 대통령 경호처 비화폰 서버 기록과 윤석열 전 대통령 휴대전화를 확보했습니다. 경찰이 그동안 숨겨졌던 핵심 증거를 손에 쥔 만큼,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방해 혐의에 대한 수사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김보미 기자입니다.
<기자>
경찰청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이 대통령 경호처로부터 확보했다고 밝힌 건 비화폰 서버 기록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쓰던 업무폰과 비화폰입니다.
수사기관의 비화폰 서버 기록 확보는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 처음입니다.
앞서 경찰은 비화폰 서버를 확보하기 위해 경호처 압수수색을 여섯 차례나 시도했지만, 김성훈 경호차장 등 경호처 지휘부의 불승인으로 번번이 가로막혔습니다.
하지만 김 차장이 사의를 표한 직후인 지난달 16일 경찰은 다시 압수수색에 나서면서 경호처와 수사에 필요한 비화폰 서버 기록을 임의제출 하는 방식으로 협의가 이뤄졌습니다.
[박창환/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장 (지난달 16일) : 압수수색 영장 집행은 불승인이고요. 대신에 임의제출에 대해서 그 방식과 절차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협의하기로 했습니다.]
비화폰 서버 기록은 이틀마다 자동 삭제되도록 설정돼 있는데, 포렌식 작업을 거쳐 대부분 복구했다고 경찰은 설명했습니다.
다만 경찰이 이번에 확보한 기록은 윤 전 대통령이 경호처에 체포 저지를 지시한 혐의와 관련한 자료로만 한정돼 비상계엄 사태 관련 자료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체포영장 집행 당시 상황을 알 수 있는 핵심 증거들이 남아 있어 경찰 수사가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경찰은 자료 분석을 마치는 대로 경호처 내 강경파로 알려진 김성훈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을 추가 소환해 조사할 방침입니다.
(영상편집 : 조무환, 디자인 : 제갈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