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정부, 통상 리스크 대응에 28.6조 정책금융 공급

정부, 통상 리스크 대응에 28.6조 정책금융 공급
정부가 통상 리스크 대응을 위해 28조 6천억 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공급합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21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통상 리스크 대응 금융 지원 추진 계획'을 점검했다고 밝혔습니다.

관세 피해 기업에 긴급한 위기 극복 자금으로 16조 3천억 원이 투입됩니다.

낮은 금리로 통상 리스크 대응 긴급자금, 저리 운영자금,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신규 수출 시장 진출 기업에는 7조 4천억 원의 융자·보증을, 첨단 사업 설비 투자와 주력 산업 재편에는 4조 9천억 원을 공급합니다.

이 같은 정책금융 프로그램에는 추경 예산 1조 5천억 원과 금융기관의 자체 재원 등이 투입됩니다.

아울러 정부는 이날 '산업·통상 환경 변화 대응 추진 경과와 향후 추진 계획'을 점검했습니다.

미국의 반도체·의약품 관세 부과 방안이 구체화할 시 '미 관세 대응 반도체·의약품 산업 대응 방안'(가칭)을 신속히 마련해 추진할 계획입니다.

또한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석화·철강 등 업종별 경쟁력 강화 방안을 차례로 마련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통상 환경 변화에 따라 지역 산업·고용 위기 확산 때는 산업·고용위기지역 지정 제도를 적극 활용해 선제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서비스업과 관련해서는, '결혼서비스법' 제정안 등이 통과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스드메(사진 스튜디오·웨딩 드레스 예약·메이크업) 업체 가격이 '깜깜이'라는 지적에 마련된 대책으로 11개 주요 결혼 업체가 자율적으로 가격을 공개하고 있는 가운데, 이달부터는 격월로 지역·품목별 가격이 소비자원 '참가격'에 공개될 예정입니다.

올해 서비스 수출에는 정책금융기관 등을 통해 최대 12조 8천억 원이 지원될 예정입니다.

작년 지원 실적(11조 1천억 원)보다 15.9% 증가한 수준입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올해 8월 서비스 규제 실태 조사 등 결과를 바탕으로 생산성 향상 지원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