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1∼3월)에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 구입)이 이어지면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전체 가계 빚(부채)이 다시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
다만 신용대출이 5조 원 가까이 줄어든 영향으로 가계 빚 증가 폭은 전 분기의 약 4분의 1 수준으로 축소됐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0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928조 7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작년 말(1천925조 9천억 원)보다 2조 8천억 원 많고,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큰 규모입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합니다.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통화 긴축 속에서도 2023년 2분기(+8조 2천억 원)·3분기(+17조 1천억 원)·4분기(+7조 원) 계속 늘다가 작년 1분기 들어서야 3조 1천억 원 줄었지만, 이후 다시 방향을 틀어서 올해 1분기까지 네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다만 1분기 증가 폭(+2조 8천억 원)은 전 분기(+11조 6천억 원)보다 크게 줄었습니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빼고 가계대출만 보면, 1분기 말 잔액이 1천810조 3천억 원으로 전 분기 말(1천805조 5천억 원)보다 4조7천억 원 불었습니다.
역시 전 분기(+9조 1억 원)와 비교해 증가 폭은 절반으로 축소됐습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1천133조 5천억 원)이 9조7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반대로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잔액 676조 7천억 원)의 경우 4조 9천억 원 줄어 14분기 연속 뒷걸음쳤습니다.
대출자들이 연초 상여금으로 신용대출을 상환한 데 영향을 받았다는 게 한은의 설명입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가계대출 전망과 관련해 "2∼3월 늘어난 주택 거래가 1∼3개월 시차를 두고 주택담보대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5∼6월 주택담보대출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지만,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과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으로 하반기 안정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가계부채 비율에 대해서는 "분모인 1분기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분자인 1분기 가계신용이 전 분기 대비 0.1% 증가한 것으로 미뤄 가계부채 비율의 하향 추세가 지속된 것으로 본다"면서도 "(금리 인하 등) 금융 완화 기조는 가계대출이나 부동산의 불안 요인인 만큼 한은과 금융 당국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