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70대 이상 절반 '중증 난청'…낙상 경험률 최대 2배↑

70대 이상 절반 '중증 난청'…낙상 경험률 최대 2배↑
노인 인구 증가로 난청 환자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난청 환자는 어지럼증이나 낙상에도 취약해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병관리청의 난청 유병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까지 최근 5년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40세 이상 성인의 중증도 이상 난청 유병률은 남자 17.8%, 여자 13.6%, 경도 난청은 남자 30.9%, 여자 23.4%였습니다.

연령이 높을수록 난청 유병자가 늘어 70대 이상에서는 남자의 52.9%, 여자의 40.7%가 중증도 이상 난청을 앓고 있었습니다.

남자가 여자보다 대체로 난청 유병률이 높았고,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난청 유병률이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습니다.

최근 5년간 난청 유병률에 두드러진 변화는 없지만, 노인 인구가 늘면서 전체 난청 환자는 계속 증가 추세입니다.

최근 5년간(2019∼2023) 난청 진료인원 (사진=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난청 진료환자는 2019년 65만 명에서 2023년 80만 명으로 5년 새 23%가량 증가했습니다.

청력 손실은 삶의 질을 저하할 뿐 아니라 낙상 등의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질병청에 따르면 난청이 있는 남성의 32.3%는 어지럼증을, 9.4%는 낙상을 경험했다고 답해 난청이 없는 사람의 경험률보다 각각 10%p, 3.2%p 높았습니다.

여성의 경우에도 어지럼증을 경험한 비율이 난청 유병자는 41.0%로 비유병자보다 9.2%p 높았고, 낙상도 난청 환자의 경험 비율이 비유병자보다 2배 이상 많았습니다.

난청 유무에 따른 이비인후 관련 증상 경험 (사진=질병관리청)

질병청은 "우리나라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난청에 대한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다"며 "소음 노출, 이명 등 난청 위험요인이 있는 취약군에 대해서 어지럼증과 낙상 예방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