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으로 수출된 한국산 쌀
일본에서 쌀값이 고공행진하면서 쌀 도난 사건도 급증하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어제(14일) 보도했습니다.
이바라키현 경찰에 따르면 올해 들어 4월 말까지 농가 창고 등을 중심으로 발생한 쌀 도난 사건은 14건으로, 총 4.5t 규모의 피해가 신고됐습니다.
올해 4개월간 발생한 쌀 도난 사건은 작년 연간 발생 건수 25건의 절반을 넘어선 수준입니다.
이바라키현의 한 남성은 자택 부근 쌀 창고에 보관해 온 약 30㎏짜리 14포대의 현미가 사라진 것을 지난달 19일 알게 된 후 "충격이 크다"며 "가족이 1년 반을 먹을 양의 쌀을 감쪽같이 갖고 갔다"고 분노를 숨기지 않았습니다.
이 남성이 사는 벼농사 지역에서는 모두 4가구가 쌀을 도둑맞았습니다.
이바라키현 경찰은 팔아넘길 목적의 도난 사건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 중이며 농가를 상대로 창고에 자물쇠를 잘 채우는 등 대비하고 수상한 인물이나 차량을 목격하면 신고하라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니가타현에서도 올해 2월 이후 4건, 540㎏의 쌀 도난 피해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이미 작년 연간 쌀 도난 피해 건수와 같은 수준입니다.
오카야마현에서도 올해 들어 최소 5건의 피해가 발생, 약 2t가량의 쌀이 사라졌습니다.
이미 범인이 잡힌 경우도 나오고 있습니다.
나라현 경찰은 이달 1일 255만 엔(약 2천460만 원) 상당의 현미 132포대를 훔친 혐의로 30대 남성을 체포했습니다.
이 남성은 판매 목적으로 훔쳤다고 경찰에 진술했습니다.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서는 지난 3월 쌀 창고에서 2포대, 60㎏의 현미를 훔친 남성이 체포됐는데, 쌀 포대에 부착된 위치정보 발신 장치가 추적에 결정적 기여를 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일본에서는 작년 하반기부터 쌀값이 고공행진을 벌여 정부가 올해 3월부터는 비축미까지 푸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좀처럼 가격이 안정되지 않고 있습니다.
농림수산성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4일까지 조사한 전국 슈퍼의 쌀(5㎏ 기준) 판매가격은 4천214엔(약 4만 원)으로 1년 전의 2배 수준이었습니다.
일본 정부는 비축미 방출에도 소매 유통단계까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자 입찰 조건 완화 등 추가 대응책을 검토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