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 캠핑카 판매 업체 대표가 사기 혐의로 검찰에 넘겨졌습니다. 정부 허용치보다 훨씬 무거운 캠핑카를 팔면서 그 사실을 소비자에게 알리지 않았던 겁니다. 처음에는 소형차로 수입해 인증받은 뒤에 나중에 여러 옵션을 추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피해자 이야기를 신용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2022년 2월, 캠핑을 즐기는 사공세훈 씨는 한 캠핑카 수입 판매 업체와 리스 계약을 맺었습니다.
1억 7천만 원짜리 고가의 유럽산 캠핑카였습니다.
그런데 1년 뒤 처음 받은 안전진단 검사 결과는 믿기 어려웠습니다.
차량 중량 허용치를 초과해 재정비한 뒤 검사를 다시 받아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과태료를 내야 한다며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겁니다.
확인 결과 이 업체는 해당 차량을 소형차로 수입해 최초 인증을 받았고, 이후 여러 가지 캠핑 옵션을 장착하면서 무게가 3.8t으로 늘어났습니다.
중량 허용치 3.5t을 300kg이나 초과한 수치입니다.
1개에 50kg짜리 리튬배터리 4개가 이렇게 트렁크에 설치돼 있고요, 안으로 들어와 보시면 천장에는 에어컨도 부착돼 있습니다.
모두 인증 절차를 거친 후에 설치된 추가 옵션들입니다.
옵션을 제거하면 사실상 캠핑카 기능을 못 하게 되다 보니 결국 이 남성은 지난해 8월까지 캠핑카를 방치한 채 매달 리스료로 230여만 원을 납부하다 계약을 종료해야 했습니다.
[사공세훈/피해자 : 장사하다가 이제 유일한 취미가 캠핑이다 보니까. 지금 거의 2년이 다 돼가고 있는데 이젠 캠핑도 안 다녀요. 지금 뭐 건강과 금전적으로 모든 걸 지금 다 잃은 상태예요.]
사공 씨는 업체 측이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고 사실상의 '꼼수 검사'를 통해 차량 운행이 가능하다는 식으로 대응했다고 말합니다.
[업체 관계자 : 일단 검사를 받고, 그 안에 저희가 뭐 배터리 위치를 옮기든지 아니면 일단 방법을 찾을게요. 일단은 저희가 검사 대행을 해 갖고.]
업체 측은 SBS에 "다른 합법적인 해결 방법을 찾은 뒤 검사를 받자는 의미였다"면서 "의도적으로 중량 초과 차량을 판 게 아니라 구체적 수치 등 세부 규정을 알지 못해 발생한 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경찰은 지난 1월 캠핑카 업체 대표와 직원 등을 사기 혐의로 검찰에 넘겼습니다.
(영상취재 : 윤형·강시우, 영상편집 : 이상민, 디자인 : 최재영·장성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