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경기교사노동조합은 스승의 날을 앞두고 경기지역 교사들의 '교직 및 교육현장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한 결과 10명 중 7명 이상이 최근 1년간 이직이나 사직을 고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오늘(14일)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7일까지 온라인으로 이뤄졌으며 조합원 3천408명이 참여했습니다.
현재 교직 생활의 만족도 파악을 위한 "최근 1년간 이직 또는 사직을 고민한 적이 있느냐"는 물음에 응답자의 72.3%가 "그렇다"고 응답했습니다.
이직·사직을 고민한 이유로는 교권 침해 및 과도한 민원이 48.3%로 가장 많았고 낮은 급여, 과도한 업무, 연금 혜택 축소, 관리자 갑질 및 경직된 조직 문화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최근 1년간 교권 침해를 당한 경험을 묻는 항목에서는 56.3%가 학생에게 당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고 56.5%는 학부모에게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교육정책과 관련해 정상적인 교육활동 보장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를 묻는 말에는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 현장 체험학습 사고 등에 대비한 교육활동 보호 대책 수립이라고 답한 비율이 78.5%로 가장 높았습니다.
교육정책 수립·이행 등의 과정에 현장의 의견이 잘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96.9%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경기교사노조 송수연 위원장은 "이번 조사 결과는 교육부가 더 이상 현장의 목소리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강력한 경고"라며 "지금 필요한 것은 교사 정원 감축이 아닌 교육 여건에 맞는 교사 충원과 행정업무 경감, 교권 보호 장치 강화,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교사 참여 보장"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