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오늘(13일) 미·중 관세 휴전 여파를 신중하게 계산하며 2,600대 보합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지수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1.09포인트(0.04%) 오른 2,608.42로 집계됐습니다.
지수는 전장 대비 5.57포인트(0.21%) 내린 2,601.76으로 출발한 뒤 상승과 하락을 오가며 보합권에서 등락했습니다.
장중 한때 2,620선을 터치하기도 했으나 이내 상승분을 반납했습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1천741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를 방어했습니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1천369억 원, 910억 원의 매도 우위였습니다.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미국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3.6원 오른 1,416.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미중 무역 협상에 따라 양국 간 관세율이 크게 낮아지면서 간밤 뉴욕증시가 급등했지만, 앞서 전날 기대감을 선반영한 국내 증시는 크게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미국 경기 침체 우려가 완화되면서 달러인덱스,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한 것도 국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전날 5% 넘게 올랐던 삼성전자는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1.22% 하락했고, SK하이닉스는 1.79% 올라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현대차(0.46%), 기아(1.41%), 삼성바이오로직스(0.91%), 셀트리온(1.65%)도 올랐습니다.
호반건설의 지분 매입으로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제기된 한진칼은 가격 제한 폭(29.93%)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한진칼우(29.98%)도 신고가를 썼습니다.
HMM(5.81%), HD한국조선해양(3.66%), HD현대중공업(1.24%), 한화오션(1.97%) 등은 올랐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1.95%), 현대로템(-1.57%) 등 방산주는 내렸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2.95%), NAVER(-1.05%), 현대모비스(-1.53%) 등도 약세를 나타냈습니다.
업종별로는 운송창고(3.11%), 일반서비스(2.56%), 증권(1.93%), 의료정밀기기(1.61%), 기계장비(1.34%), 제약(1.25%), 금융(1.20%) 등이 강세였고, 전기가스(-3.10%), 금속(-2.23%), 종이목재(-1.63%), 비금속(-1.02%) 등은 약세를 보였습니다.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6.48p(0.89%) 오른 731.88로 마감했습니다.
지수는 전장보다 5.71포인트(0.79%) 오른 731.11로 출발한 뒤 장중 1% 넘게 오르는 등 강세를 지속했습니다.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397억 원, 594억 원을 각각 순매수했고 개인은 872억 원을 순매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약가 인하 관련 행정명령이 제약사보다는 유통, 보험사에 초점에 맞춰져 있다는 분석 속에 알테오젠(3.57%), 펩트론(13.80%), 리가켐바이오(2.78%), 삼천당제약(8.50%), 에이비엘바이오(3.35%), 보로노이(6.88%) 등 제약주가 동반 급등한 것이 지수에 상승 동력을 제공했습니다.
에코프로비엠(-3.42%), 에코프로(-1.57%), 실리콘투(-4.19%), 주성엔지니어링(-1.40%) 등은 약세를 보였습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 대금은 각각 8조 3천917억 원, 7조 75억 원이었습니다.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의 프리·정규마켓 거래 대금은 4조 7천308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