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농식품부 "농식품 수급 안정에 총력…가격 담합 부처 합동 조사"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 자료화면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식품 수급 안정을 위해 가격 담합 등 불공정 거래 행위에 부처 합동으로 강도 높은 조사를 진행하겠다고 오늘(12일) 밝혔습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통계청의 4월 소비자물가 조사 결과 축산물 물가 지수는 작년 동기보다 4.8% 상승했습니다.

주요 축산물 수급은 대체로 양호하지만, 돼지고기 가격은 작년보다 비싸졌습니다.

이는 햄, 소시지 등 가공식품 원료로 사용하는 국내산 돼지고기 뒷다리 수요가 증가한 데 따른 것입니다.

또 경기 침체 등으로 소비 패턴이 변하면서 최근 삼겹살은 재고가 쌓이지만, 뒷다리, 불고기 등은 재고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에 농식품부는 가공식품 원료육으로 돼지고기 1만t(톤)에 대해 할당관세(0%)를 적용해 공급량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평년에 비해 부족한 상황인 만큼, 부족분을 가공용으로 들여온다는 방침입니다.

이달 가정의달을 맞아 축산물 소비가 증가할 것에 대비해 축산자조금을 활용해 대형마트 등 주요 유통업체에서 돼지고기 삼겹살 등 품목에 대한 할인 행사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농식품부는 계란은 산지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유통 구조를 점검 중입니다.

가공식품 물가 지수는 4.1% 상승했습니다.

코코아와 커피 등 일부 원재료 가격이 오른 데다 원/달러 환율 상승과 공공요금 등이 인상됐기 때문입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38개 주요 식품기업 중 16개 기업의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등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농식품부는 식품기업의 원재료 구매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할당관세 적용 식품 원료를 연초 13개에서 현재 21개까지 늘렸고 이달부터 계란 가공품 4천t에 할당관세를 적용했습니다.

중소 식품기업에는 원재료 구매자금으로 4천500억 원을 지원하고 있으며 수입 부가가치세 면세 등 세제·금융 지원을 시행 중입니다.

농식품부는 식품기업의 원가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더 발굴하고, 업계와 소통·협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외식 물가 지수는 재료비와 인건비, 임차료, 배달앱 수수료 부담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작년 동기보다 3.2% 상승했습니다.

농식품부는 외식업체의 배달앱 수수료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공공배달앱을 활성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확보한 650억 원을 활용해 공공배달앱으로 2만 원 이상씩 3회 주문한 소비자에게 할인 쿠폰을 1만 원 지급하는 행사를 열기로 했습니다.

행사는 다음 달 말부터 진행할 예정이고, 쿠폰 지급 대상은 650만 명입니다.

반면 농산물 물가 지수는 1.5% 하락했습니다.

봄배추가 본격 출하하며 배추 소매 가격은 지난달 중순 포기당 5천596원에서 이달 상순 4천919원으로 내렸습니다.

농식품부는 올해 배추 수매·비축량을 2만 2천400t으로 작년보다 7천t 늘렸습니다.

무의 경우 작년보다 2천500t 많은 7천500t을 수매·비축하기로 했습니다.

과일류는 유통량이 많아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이달 상순 사과와 배 가격은 10개에 각각 2만 6천84원, 4만 6천474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5.7%, 8.6% 내렸습니다.

농식품부는 사과와 배 정부 수급 관리용 물량이 충분해 햇과일이 출하되는 7월까지 값이 안정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부 수급 관리용 사과, 배 물량은 각각 2천500t으로, 4∼7월 시장에 공급됩니다.

농식품부는 올해 사과와 배 생산량은 평년 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사과의 경우 산불 피해 면적이 전국 재배면적의 1.4% 수준이고, 저온 피해에도 불구하고 수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배는 평년보다 저온 피해가 적었고, 특히 주산지에서는 피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식품부는 농식품·외식업계에서 가격 담합 등 불공정 거래행위가 의심되는 경우 관계 부처와 함께 강도 높은 조사와 처벌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달 제과기업 중심으로 현장 조사를 나갔고, 이후에도 계속 조사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추경으로 확보한 할인 지원 예산 1천200억 원을 가정의달과 여름 휴가철, 추석, 김장철 등 성수기에 집중 투입해 소비자 체감 물가를 안정시킨다는 방침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