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서울 한복판에 ATM…현실 들어온 가상화폐

<앵커>

가상자산을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이른바 코인 환전소가 요즘 서울 곳곳에서 영업하고 있습니다. 이뿐 아니라 가상자산을 바로 현금으로 뽑을 수 있는 기계가 설치된 곳도 있습니다.

가상자산이 사실상 화폐처럼 쓰이고 있는 건데, 그 실태를 취재한 노동규 기자 리포트 먼저 보시고, 이야기 더 이어가겠습니다.

<기자>

외국인도 많이 찾는 서울 남대문 시장에는 별난 현금출납기가 있습니다.

비트코인이나 테더 같은 가상자산을 넘기면 시세에 맞춰 현금이 나오는 겁니다.

한 환전업체가 정부 규제 예외 허가를 받아 외국인을 대상으로 운용 중입니다.

외국에서 코인 환전 경험이 있는 관광객들이 이용합니다.

[이종명/다윈KS 대표 : 일주일에 한 2~3건 정도 이용을 하는 거 같고요. '달러 스테이블'에 가까운 테더를 월등히 많이 사용하고 있고, 이더리움도 곧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세계에서 거래되는 가상자산이 실생활에서 법정 화폐처럼 쓰이는 겁니다.

그 중심에는 미국 달러나 금 같은 안전자산 가치와 연동해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한 '스테이블 코인'이 있습니다.

미국 달러 자산을 담보로 삼은 테더나 USDC가 대표적인데, 발행업체가 1달러짜리 코인을 판 돈으로 미국 국채 등을 사놓고 언제든지 다시 현금으로 돌려주는 구조입니다.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에서는 비트코인 같은 다른 가상자산을 사기 위한 '기축통화'로 쓰이고 있습니다.

사실상 달러처럼 여겨져 비상계엄 사태를 전후한 넉 달 새 해외로 유출되거나 해외에서 유입된 스테이블 코인 규모는 85조 원어치에 달합니다.

거래소를 통하지 않아 통계에 안 잡히는 거래까지 감안하면 유출입 규모는 더 클 걸로 추정됩니다.

테더 같은 스테이블 코인을 현금으로 바꿔주거나 살 수 있는 '코인 환전소'도 이미 서울 강남, 명동 등지에서 성업 중입니다.

은행보다 빠르게, 당국에 신고하지 않고, 액수가 얼마든지 달러를 보내거나 받으려는 사람들이 주로 이용한다고 합니다.

[코인 환전소 대표 : 유학생 있는 집이 은행에서 보내면 자기 소득이 노출되고 싫으니까 이걸 갖다 미국에 보내면 자식이 알아서 그냥 쓰는 거예요. 외국 나가시는 분들도 이거 가지고 나가시는 분들도 있으시고, 또 무역하시는 분들도 많이 찾으시고.]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