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사노조와 전교조가 8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고교학점제 폐지 서명운동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교사노동조합연맹은 올해 고등학교 1학년 교실에 전면 도입된 고교학점제가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전교조와 교사노조는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교학점제로 학생들은 무리한 진로 결정을 강요당하고 있다"며 고교학점제 전면 폐지를 요구했습니다.
이들 단체는 4월 21일부터 5월 2일까지 진행한 고교학점제 폐지 촉구 온라인 서명에 고등학교 교사 1만 9천664명이 참여했다고도 밝혔습니다.
이들은 "이미 한 줄 세우기식 내신 등급 산출을 위한 지필평가와 수많은 수행평가로도 학생들은 숨이 막히고 있다"며 "여기에 대입에 유리한 과목 선택과 추가 학점 이수를 위한 타 학교나 외부 기관의 과목 이수까지 더해져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과 실패를 통해 자신을 알아가고 진로를 탐색해야 하지만 현재의 고등학교 시스템에서는 불가능하다"며 "1학년 때 결정한 진로를 2, 3학년 때 바꾸게 되면 입시에 불리해질까 봐 심한 경우 자퇴를 고민하기도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과목 선택과 진로 선택마저도 사교육 컨설팅의 영역이 됐다"며 "학생들은 내신 성적 관리에 유리한 학생 수가 많은 대규모 학교로 몰리고 있다"고 꼬집었습니다.
전교조와 교사노조는 아울러 고교학점제에 따른 공동 교육과정 운영, 시간표 편성, 외부 연계 수업 관리 등 교사 업무가 증가하고 있지만 인력 지원이 없어 부담이 크다고도 비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