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ㆍ18민주묘지를 찾은 한덕수 전 총리가 광주비상행동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에게 가로막혀 있다.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한 뒤 오늘(2일) 광주를 찾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시민 단체의 반발로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지 못했습니다.
한 전 총리는 오늘 오후 5시 35분쯤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 도착해 지지자 100여 명의 연호를 받으며 민주묘지로 향했습니다.
그러나 민주묘지로 들어가는 초입인 '민주의 문' 앞에서 한 전 총리의 대선 출마와 5·18 묘지 참배를 비판하는 시민단체 '내란청산·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과 '오월정신지키기범시도민대책위' 관계자들에게 가로막혔습니다.
한 전 총리가 도착하기 2시간여 전부터 민주묘지에 모인 이들 단체는 "내란 동조 세력 한덕수는 물러가라", "5·18 참배 자격 없다"고 연신 외쳤고, 민주의 문으로 다가오는 한 전 총리를 경호하는 인력과 밀고 당기며 경미한 몸싸움을 벌였습니다.
지지자들에게 둘러싸인 채 10여 분간 민주묘지로 들어가지 못한 한 전 총리는 헌화·분향 대신 민주의 문 앞에서 고개를 숙이며 참배를 대신했습니다.
묵념을 마친 후에도 시민 단체의 고성이 오가는 반발이 사그라지지 않자 한 전 총리는 제자리에 서서 참배를 한목소리로 반대하는 시민 단체를 아쉬운 눈빛으로 바라보기도 했습니다.
결국 발걸음을 돌린 한 전 총리는 "여러분 조용히 해주세요"라고 여러 차례 외쳤으나, 지지자·시민단체의 고성에 묻혔고,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 서로 미워하면 안 됩니다. 우리 5·18의 그 아픔을 호남 사람들은 다 잘 알고 있습니다"고 말했습니다.
타고 온 버스로 향하는 길에서는 자신을 보러 온 지지자들과 악수하며 고마움을 표했고, 재차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 서로 사랑해야 한다. 서로 미워하면 안 된다. 우리 5·18의 아픔을 호남 사람들은 다 살아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다시 참배할 의향이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답변하지 않고 5·18 민주묘지를 떠났습니다.
이후 한 전 총리는 총리 시절 지난달 방문했던 식당을 다시 찾아 쪽방촌에 이은 민생 행보를 이어갔습니다.
광주 동구 대인시장에 있는 '해 뜨는 식당' 업주에게 짧은 인사말을 건넸고, 캠프 관계자·지지자들 동석 없이 비공개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식당을 벗어난 뒤에는 튀김 판매점을 들러 튀김을 직접 사 먹었고, 환호하는 일부 상인과 기념사진을 찍으며 광주 일정을 마무리했습니다.
한 전 총리의 선거 캠프는 "첫 지방 일정으로 광주 5·18 민주묘지를 찾아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하고 희생하신 영령께 애도의 뜻을 전하고자 했다"며 "하지만 현장에서 일부 시민 단체의 격렬한 반대로 인해 참배가 무산된 점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한 후보는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들에게 안타까움을 느끼고 죄송스러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며 "그때의 아픔을 잊지 않고, 그런 일이 다시 일어나선 안 된다는 각오를 다지는 의미에서 '민주의 문'은 활짝 열려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