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미 자동차 부품 25% 관세 'D-1'…한국 332개 품목 '사정권'

미 자동차 부품 25% 관세 'D-1'…한국 332개 품목 '사정권'
▲ 경기 평택항에서 수출 선적 기다리는 한국산 자동차들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해 예고한 25% 관세가 오는 3일 발효를 앞둔 가운데, 한국의 대미 자동차 부품 수출 규모가 연간 135억 달러에 달해 수출 감소가 우려된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는 지난달 3일부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내일(3일)부터는 자동차 부품으로 25% 관세 조치를 확대합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미국에서 완성한 자동차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는 사실상 25% 관세를 적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포고문에서 자동차 제조사가 미국에서 조립한 자동차 가치의 15%에 해당하는 부품에 대해 관세를 1년간 줄이고, 이듬해에는 10%에 해당하는 부품에 대해 관세를 줄이라고 지시했습니다.

무역협회는 미국의 이번 관세 조치의 대상이 되는 자동차 부품 품목은 미국무역대표부의 국제상품분류체계 10단위 기준으로 332개 품목에 해당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들 부품은 대부분 자동차 산업에 사용되지만, 자동차 부품으로 분류되지 않거나 자동차와 직접적 연관성이 낮은 품목도 다수 포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이 밖의 자동차 부품의 수입 물량이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수준으로 증가하는 경우, 트럼프 정부가 이를 관세 대상에 추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미국의 자동차 부품 수입 가운데 한국의 비중은 지난해 기준 6.4%로, 금액으로는 135억 달러, 우리 돈 약 19조 원에 달합니다.

세부 품목 별로는 배터리·모터 등 전동화 부품, 새시 등 구동축 부품, 자동차용 전자·전기 부품, 차체 등 부품, 엔진 등 부품, 자동차용 타이어 등입니다.

미국은 한국의 최대 자동차 부품 수출 시장이며, 미국 기준으로 한국은 5∼6위 수입국에 해당합니다.

한국의 자동차 부품 대미 수출 비중은 지난 2020년 29.5%에서 2024년 36.5%로 증가했고, 미국의 대한국 수입 비중은 같은 기간 6.6%에서 7.3%로 소폭 증가했습니다.

무협은 이번 관세 추가 조치에도 안전성, 내구도가 중요한 자동차 특성상 미국 내 수요 기업이 단기적으로 소재·부품 거래선을 변경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관세 인상분이 최종 소비자 가격에 전가되면서 이에 따른 수요 위축과 수출 감소 우려가 있다고 봤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