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인 트럼프 주니어가 이틀에 걸친 방한 일정을 마치고 출국했습니다.
트럼프 주니어는 오늘(1일) 자정을 지나 전용기 편으로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떠났습니다.
지난달 29일 입국한 트럼프 주니어는 30일 한국 주요 기업인들과 잇따라 면담한 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과의 만찬을 끝으로 공식 일정을 마무리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막후 실세'로 통하는 트럼프 주니어의 이번 방한은 국내 인사 가운데 가장 친분이 두텁다고 알려진 정 회장의 초청으로 성사됐습니다.
그 배경에는 트럼프 행정부와 이어지는 소통 채널을 만들어달라는 국내 재계의 요청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트럼프 주니어의 방한 일정도 국내 기업인과의 면담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리스크를 최소화하고자 분투하는 재계가 트럼프 대통령과 직통하는 유력 인사를 접촉할 흔치 않은 기회여서 주목받았습니다.
트럼프 주니어는 방한 둘째 날인 어제(지난달 30일) 온종일 국내 재계와의 면담에 할애했습니다.
면담은 오전 7시부터 12시간가량 진행됐습니다.
극도의 보안 속에 트럼프 주니어와 얼굴을 마주한 재계 인사 중에는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부사장 등 한화 3형제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부사장)이 포함됐습니다.
이재현 CJ그룹 회장,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의 사촌인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이해진 네이버(NAVER) 의장 등도 면담장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중견기업 인사로는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과 부동산 개발회사인 엠디엠그룹 문주현 회장, 금융계에서는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이 유일하게 트럼프 주니어와 대면했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면담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고, 해외에 체류 중인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끝내 만남이 불발됐습니다.
면담 내용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으나 개별 기업의 대미(對美) 관심 사업과 한미 경제 협력 방안 등이 주로 논의됐을 것으로 재계는 보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미국 행정부의 공식 직함 없이 기업인으로 활동하는 트럼프 주니어가 반대급부로 한국에서의 사업 기회나 한국기업으로부터의 투자를 타진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트럼프 주니어의 이번 방한을 계기로 정용진 회장과의 4년여에 걸친 친분이 다시 주목받았습니다.
트럼프 주니어는 한국에 도착하자마자 정용진 회장의 자택을 찾아 2시간에 걸친 만찬을 가졌습니다.
이후 트럼프 주니어의 숙소와 면담 장소까지 신세계 그룹에서 제공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정 회장은 지난해 12월 트럼프 주니어의 초청으로 트럼프 대통령 자택이 있는 미국 플로리다 팜비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5박 6일간 머무는 등 당시 당선인 신분이던 트럼프 대통령과도 조우한 바 있습니다.
이는 지난해 미 대선 이후 트럼프 당선인과 국내 기업인 사이 첫 만남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