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은 오늘(30일)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가운데 사망자 600명을 포함, 총 4천700명의 사상자가 나온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국정원은 오늘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에서 이런 내용을 보고했다고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 민주당 김병기 의원이 기자들에게 전했습니다.
국정원은 북한군이 두 차례에 걸쳐 총 1만 5천 명을 러시아에 파병했다고 보고했습니다.
다만, 국정원은 우크라이나군이 진입했던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지역에서 러시아가 대부분 영토를 수복함에 따라 3월 이후 교전이 감소했다고 정보위에 알렸습니다.
3차 파병에 대한 움직임은 없지만 가능성은 존재하는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또, 국정원은 북한군이 파병 초기의 미숙함이 줄고 무인기 등 신형 장비에 익숙해지면서 전투력이 상당히 향상됐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파병 장기화로 북한군 내 과음이나 절도 등 현지 일탈 행위도 보고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군 사망자는 쿠르스크 지역서 화장된 뒤 북한으로 이송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파병과 무기 수출에 대한 대가로 국정원은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정찰 위성 발사대와 기술 자문, 무인기 실물, 전자전 장비, SA-22 지대공 미사일 등을 받은 것으로 보고했습니다.
또, 금속과 항공, 에너지, 관광 등 14개 분야에서 산업 현대화를 논의 중이고 북한 노동자 1만 5천 명 정도가 러시아에 송출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