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뉴욕증시, 중만 빼면 순조로운 무역협상…동반 강세 마감

뉴욕증시, 중만 빼면 순조로운 무역협상…동반 강세 마감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강세로 마감했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협상은 진전이 없지만 주요 교역국 간 협상은 순조롭게 진행된다는 기대감에 매수세가 붙었습니다.

29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00.03포인트(0.75%) 오른 40,527.62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2.08포인트(0.58%) 뛴 5,560.83, 나스닥종합지수는 95.18포인트(0.55%) 상승한 17,461.32에 장을 마쳤습니다.

이날 강세로 S&P500 지수와 다우 지수는 6거래일 연속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전날 약보합 이후 다시 강세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협상은 여전히 진전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다른 주요 교역국과의 협상은 원활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점이 매수심리를 자극했습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100일을 맞아 경제정책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우리는 다음 몇 주 동안 18개의 중요한 무역 관계를 맺을 것"이라며 "중국은 제쳐두고 17개는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베선트는 특히 아시아 국가들이 협상에 가장 적극적이라며 한국과도 협상 윤곽이 드러나고 있고 일본과도 상당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부연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또한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무역 합의를 마친 국가가 있다며 상대국의 총리 및 의회의 승인만 남았다고 밝혔습니다.

해당국 이름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이를 두고 월가에선 한국이나 인도일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우리는 인도와 협상이 잘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 투자 전략가는 "무역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나올 때까진 다른 문제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며 "투자자들이 무역협상에서 진전을 기다리는 동안 S&P500은 5,100~5,700 사이를 오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이와 별개로 경기지표는 악화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미국 콘퍼런스보드(CB)에 따르면 4월 소비자신뢰지수는 86.0으로 집계됐습니다.

전월의 93.9보다 7.9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4월 기대지수는 전월 대비 12.5포인트 급락한 54.4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11년 10월 이후 13년 만의 최저치입니다.

미국의 3월 상품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발표를 앞두고 기업들이 대거 선주문에 나선 결과입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 3월 상품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1천620억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2월의 1천478억 달러보다 9.6% 증가했습니다.

로스앤젤레스 항만청장인 진 세로카는 "아시아 지역의 적재량을 측정하는 자체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 주 물동량은 작년 대비 35% 남짓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관세 부과로 여러 주요 미국 소매업체가 중국발 화물 운송을 전면 중단하면서 물동량이 급감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의 3월 구인 건수도 시장 전망치를 밑돌며 고용 악화를 시사했습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3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를 보면 계절 조정 기준으로 구인 건수는 719만2천 건으로 나타났습니다.

작년 9월 이후 최저치이자 시장 전망치 748만 건도 밑도는 수치입니다.

울프리서치의 크리스 세닉 수석 투자 전략가는 "경제가 실시간으로 약해지고 있고 CEO 신뢰도가 떨어지는 데다 관세 정책 여파로 기업 투자도 중단된 상태"라며 "앞으로 비농업 고용 보고서도 약해지면 이는 증시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강세였습니다.

1% 이상 오른 업종은 없었습니다.

거대 기술기업들은 보합권에서 혼조를 보였고 테슬라만 2% 이상 올랐습니다.

아마존은 제품 가격 옆에 관세 비용을 표기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트럼프로부터 항의 전화를 받은 뒤 없던 일로 했습니다.

백악관 또한 공식 논평에서 아마존의 이같은 방안을 두고 "적대적이며 정치적 행동"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이 과정에서 아마존의 주가는 2% 넘게 떨어졌으나 결국 약보합으로 마감했습니다.

제너럴 모터스(GM)는 약보합을 기록했습니다.

GM은 실적이 모두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관세 여파를 고려해 연간 가이던스를 재검토하고 자사주의 추가 매입 계획을 일시 보류한다고 밝히면서 투심을 눌렀습니다.

코카콜라는 시장 예상치를 웃돈 1분기 실적에 강보합을 기록했습니다.

코카콜라는 관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연간 가이던스를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화이자는 수익이 개선되면서 주가가 3% 이상 뛰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말까지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35.1%로 전날 마감 무렵과 같았습니다.

25bp 인하 확률은 60.2%로 반영됐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98포인트(3.90%) 밀린 24.17을 기록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