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시간 만에 진화된 대구 북구 함지산 산불 원인 규명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북구에 따르면 국립산림과학원 관계자가 오늘(29일) 오후 최초 발화 지점으로 추정되는 함지산 일대를 찾아 현장 기초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정확한 발화 지점을 찾는 데 중점을 두고 조사를 벌였습니다.
산림과학원은 산불 당시 기상 상황, 영상 등을 분석해 불길을 역추적하는 방식으로 발화 지점을 찾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산림과학원 관계자는 "불은 흘러간 흔적이 남기 마련이며, 역으로 추적해서 들어가다 보면 대략 불이 어디서 시작했는지 알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국내에서 자연 발화는 보통 낙뢰가 칠 때 발생한다"며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강수와 함께 낙뢰가 치는데 어제같이 맑은 날씨에 낙뢰가 쳤을 가능성은 작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발화 지점을 찾더라도 강한 불길이나 진화 작업으로 산불 현장이 훼손됐을 가능성이 높아 발화 원인을 찾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또, 이번 산불이 발생한 일대를 비추는 폐쇄회로(CC)TV가 부족해 실화 여부 등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를 확보하기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국립산림과학원 관계자는 "산불이 발생하면 산불 최초 발화 지점으로 진입해 불을 끄기 때문에 현장이 훼손된 경우가 많다"며 "CCTV는 유관 기관의 협조를 구해 확보할 예정"이라고 했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의 조사 결과는 2∼4주 이내에 나올 예정입니다.
민간단체인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관계자도 현장에서 산불 피해 조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경찰 수사도 본격화할 전망입니다.
불이 난 곳은 일반적인 등산로가 아닌 농로로 오갈 수 있으며 입산이 통제된 구역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공문을 받으면 수사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