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돌봄 필요 '85세 이상' 20년 뒤 372만 명"…요양보호사 99만 명 부족

"돌봄 필요 '85세 이상' 20년 뒤 372만 명"…요양보호사 99만 명 부족
초고령화가 가속되면서 본격적인 돌봄이 필요한 85세 이상 인구가 올해 3월 기준 113만 명에서, 20년이 지난 2045년엔 372만 명까지 늘어난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오늘(29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제11차 인구비상대책회의에 참석해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노인 돌봄 인력 수요·공급 전망과 대응 방향을 보고했습니다.

노인장기요양등급 인정자 기준으로 2023년 106만 명에서 20년 뒤인 2043년엔 262.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됩니다.

특히 전체 5등급 가운데 서비스 강도와 비용이 높은 1·2등급은 2배 이상 증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돌봄 인력은 부족한 것으로 보고됐습니다.

요양보호사 인력 규모는 2030년 중반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해 최대 약 80만 명이 된 후, 주 종사자인 5, 60대 여성 인구가 줄어들면서 점차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요양보호사 1명이 1.5명 또는 1.9명을 돌보는 현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선, 20년 뒤 약 99만 명의 요양보호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복지부는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노인 돌봄 분야에 노인 일자리 참여 인력 활용을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노인이 취약 노인 가정을 방문해 돌봄을 제공하는 노노케어 인력을 늘인다는 겁니다.

현재 5.5만 명인 노노케어 일자리를 내년까지 10만 명으로 확대하고, 해당 사업을 우선지정일자리로 선정해 지자체에서 우선 실시하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외국인 유학생의 돌봄 현장 유입을 위해 노인의료복지시설 취업 시 유학(D-2)·구직(D-10) 비자를 특정활동(E-7) 비자로 변경하는 등 제도적 지원도 진행할 계획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