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재명 민주당 후보는 경선 과정에서 개헌과 대통령실 세종이전, 의대정원 같은 굵직한 현안들에 대한 공약을 내놨습니다. 원전이나 증세 문제에 대해서는 우클릭하는 모습을 보였고, 반면에 어떤 것들은 왼쪽으로 쏠렸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한소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재명/민주당 대선 후보 (지난 11일) : 이념과 진영 대결은 생존 문제 앞에선 모두 사소한 문제일 뿐입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의 지론은 '잘사니즘'에 담겨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이 후보 공약에는 좌우가 혼재돼 있다는 평이 많습니다.
원전 문제에선 문재인 정부보다 오른쪽으로 갑니다.
[이재명/민주당 대선 후보 (지난 25일) : 일방적인 탈원전, 원전 중심 이렇게 하기는 그렇고 에너지믹스가 필요하겠다.]
경선 토론회에서 다른 후보가 진보의 담론인 '증세'를 주장하자 이런 반박을 했습니다.
[이재명/민주당 대선 후보 (지난 18일) : 정부의 부담을 민간에 떠넘기는 증세를 추진하는 것은 그렇게 바람직해 보이지 않습니다.]
반면, 상법 개정안 공약의 경우 국회를 통과했다가 거부권으로 재의 끝에 폐기된 기존 안보다도 '좌클릭'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재계가 반대하는 집중투표제나 감사위원 분리선출 확대를 더한, 더 센 상법을 내놓은 겁니다.
[이재명/민주당 대선 후보 (지난 21일) : 불공정이 완전히 사라진 시장으로 만들어야…. 대주주들의 지배권 남용을 어렵게 만들어야 합니다.]
재정 부담을 이유로 정부가 거부하고 있는 양곡관리법 개정이나, 의료계 반대로 무산됐던 공공의대의 설립을 재추진하겠다고 나선 것도 비슷한 맥락입니다.
[김상일/정치평론가 : 국민의 니즈 (필요)를 최대한 반영하려는 거고요. 어떨 땐 자기 이해관계에 맞춰서 시류와 국민 여론에 좀 맞춰서 가려는 성향이 좀 강합니다.]
경선 과정에서 추진 시기가 구체화한 공약도 있습니다.
"지금은 내란 종식에 집중할 때"라며 '즉각 개헌'에는 선을 그어온 이 후보는 이르면 내년 6월 지방선거 때, 늦어도 2028년 총선 때 개헌을 추진하겠다는 시간표를 내놨습니다.
세종 이전 문제의 경우, "대통령 임기 안에 국회 본원과 대통령 집무실을 완전히 이전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용우, 영상편집 : 김호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