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4·27 판문점 선언 7주년 기념식' 참석차 국회를 찾은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작심 발언을 쏟아냈습니다. 12·3 계엄은 대한민국 퇴행의 결정판이었다며 윤석열 정부를 강도 높게 비판했고 자신을 뇌물 혐의로 기소한 검찰에 대해서는 검찰권이 남용되는 단적인 사례다, 정해진 방향대로 밀고 가는 느낌이라고 말했습니다.
한소희 기자입니다.
<기자>
오늘(25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4·27 판문점선언 7주년 기념식.
판문점 선언 당사자인 문재인 전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윤석열 정부 3년을 반동과 퇴행의 시간으로 규정하며, 12·3 계엄을 두고선 '대한민국 퇴행의 결정판'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
[문재인/전 대통령 : 12·3 비상계엄은 대한민국 퇴행의 결정판이었습니다. 민주화된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시대착오적 일이 대명천지에 벌어질 것이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이어 6월 3일 치러질 조기 대선과 관련해선 "퇴행과 전진을 반복해 온 역사도 이제 종지부를 찍을 때가 됐다"며 "국민이 선택하게 될 새 정부가 국민과 함께 훼손된 대한민국의 국격을 회복하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기념식에 앞서 우원식 국회의장과 만난 문 전 대통령은 전주지검이 어제 자신을 뇌물수수 혐의로 기소한 것과 관련해 "사실관계를 깊이 확인하기 위해 검찰과 협의, 조율하고 있었는데 전격적으로 기소했다"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문재인/전 대통령 : 물론 기소 사실 자체도 이렇게 부당하지만 뭔가 정해진 방향대로 그냥 무조건 밀고 가는 그런 느낌이 들었습니다.]
문 전 대통령은 "검찰권이 남용되는 단적인 사례 같다"며 "개인적 무고함을 밝히는 차원을 넘어서서 검찰권 남용과 정치화를 제대로 덜어내고 국민께 알리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취재 : 공진구, 영상편집 : 박진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