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뉴블더] 집만 보는데 '임장비' 추진? 임장 크루에 골치

집을 사거나 전세를 구할 때, 부동산 매물을 직접 살펴보러 가는 현장 방문, 즉 '임장'을 하죠.

그런데 공인중개사협회가 임장객들에게 돈을 내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중개사무소를 통해 직접 현장을 방문하는 경우 사전에 중개사에게 일정 금액을 내고, 나중에 실제 계약이 이뤄지면 중개 보수에서 이미 지불한 '임장비'는 차감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종호 신임 한국공인중개사협회장은 지난 23일 기자간담회에서, 공인중개사는 단순한 안내자가 아니라 국민의 재산을 다루는 전문 자격사라며 임장 과정에서 제공한 노력과 서비스에 대해 정당한 보상을 받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밝혔는데요.

현재는 집을 보는 데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어렵게 임장을 진행해도 보수 없이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는 중개사들의 직업적 전문성에 대한 저평가로 이어지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임장비 추진 배경에는 이른바 '임장 크루'로 불리는 문화도 영향을 끼쳤는데요.

최근 부동산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집을 살 의사는 없이 매물만 보러 다니며 일종의 스터디를 하는 건데, 그러다 보니 손님인 것처럼 약속을 잡은 뒤 단체로 여러 명이 현장에 나타나 매도인을 당황스럽게 하기도 하고 집을 알선하는 중개사의 업무가 실익 없이 과중해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는 겁니다.

협회 측은 임장비 제도가 추진되면, 실제 매수 의사를 가진 수요자들에게 중개사들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실수요자로서는 매물 선택을 위한 비용이 더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좀 더 좋은 집을 찾기 위해 여러 곳을 둘러보면, 계약은 못 하고 임장비만 내게 되는 경우도 생깁니다.

이렇게 되면 실수요자들이 부동산 거래를 할 때, 중개사를 통하지 않고 직거래 플랫폼으로 대거 이동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영상편집 : 문이진, 디자인 : 이소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