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군부대 · 교도소 관계자 사칭 대리구매 유도 사기 '주의보'

군부대 · 교도소 관계자 사칭 대리구매 유도 사기 '주의보'
▲ 충북경찰청 전경

충북지역에서 군부대나 교도소 관계자를 사칭해 대리구매를 부탁한 뒤 대금을 가로채는 범죄가 잇따르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지난달 25일 충주에서 건축 자재 점포를 운영하는  A 씨는 군인을 사칭한 한 남성으로부터 물품 구매 요청 전화를 받았습니다.

이 남성은 "군부대에 세면대 설치가 필요하다"고 해 견적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갑자기 사정이 생겼다"면서 다른 업체로부터 전투식량을 대신 구매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 남성은 A 씨에게 관련된 군부대 공문까지 전송했고, 이에 속은 A 씨는 남성이 제시한 계좌에 1천여만 원을 송금했다가 뒤늦게 사기임을 깨닫고 망연자실했습니다.

이에 앞서 지난달 21일에는 같은 충주의 한 정미소 주인 B 씨가 유사한 사기를 당했습니다.

B 씨에게 전화를 건 남성은 자신을 충주구치소 소속 교도관이라고 밝히며 식자재(쌀) 납품을 의뢰했습니다.

이 남성 역시 구치소에서 물품구매를 추진하는 내용의 공문서 사진을 보내오기도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 남성은 대뜸 B 씨에게 방검복 대리 구매를 요구했습니다.

기존 방검복 납품업체와 단가가 맞지 않아 다른 업체 제품을 사용하기로 했다면서 해당 업체에서 대신 구매를 한 뒤 납품해 달라는 것이었습니다.

이어 업체 계좌로 송금할 것을 요구했으나, 이를 수상히 여긴 B 씨가 충주구치소에 확인 전화를 하면서 이 남성의 사기 행각이 드러났습니다.

이처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교도소 또는 군부대 관계자를 사칭해 물품 대리 구매를 요청한 뒤 대금을 가로채는 수법의 사기 범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24일 충북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6월부터 현재까지 총 23건의 관련 사기 피해 사건이 접수됐고, 피해 금액은 3억 2천만 원에 달합니다.

피해 확산에 충북경찰청은 형사기동대를 전담수사부서로 지정하고, 일선 경찰서로부터 사건을 넘겨받아 집중 수사 중입니다.

최종상 충북경찰청 수사부장은 "정부 기관은 물품구매 시 전자결제를 사용하거나 신용카드를 사용한다"며 "현금거래 혹은 계좌이체를 통해 물품 대리 구매를 유도한다면 사기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명심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