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선영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장이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5·18 북한군 개입설'과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과 설전을 벌이고 있다.
박선영 진실·화해를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장이 오늘(24일)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5·18 민주화운동에 북한군이 개입했다는 설에 대해 "논란이 있다는 것은 알지만 제가 그 사실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답하면서 회의가 1시간가량 파행됐습니다.
박 위원장은 '5·18 민주화 항쟁에 북한군이 개입했을 여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민주당 김성회 의원의 질문에 "그 부분에 대해 잘 모른다"고 답했습니다.
이에 민주당 소속 신정훈 행안위원장은 "'5·18에서 북한의 역할이 있었다'는 북한군 개입설에 대한 인식이 무엇인가"라고 재차 질의하자, 박 위원장은 "논란이 있지만 저는 확인하지 못했다", "진실 여부를 제가 모른다"고 답했습니다.
신 위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마저도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겠다는 입장이었는데 박 위원장은 역사적 인식과 국민의 합의를 왜곡하고 있다"며 "국회와 국민이 용서할 수가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신 위원장은 재차 답변할 기회를 줬지만, 박 위원장이 같은 답을 내놓자 '자리에 있을 자격이 없다'며 퇴장을 명령했습니다.
하지만, 박 위원장은 "국회법에 참고인 퇴장을 명령할 권한이 위원장에게 없다"며 퇴장 명령을 거부했고, 국민의힘 의원들은 "답변을 강요한다"고 거세게 항의하면서 회의장에서 먼저 퇴장했습니다.
신 위원장은 소란이 이어지자 회의를 정회한 후 30분 뒤 개회했지만, 박 위원장은 자리를 지켰습니다.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은 "진화위원장 답변에 대해 우리가 왈가왈부하는 것은 안 맞는 것 같다"며 진화위 관련 질의가 없다면 박 위원장을 이석시키고 현안 질의를 계속 진행하자고 제안했습니다.
하지만, 그 직후에도 의원들 간 고성이 이어지는 와중 민주당 한병도 의원은 국민의힘 의원들을 향해 "5·18 문제는 최소한의 공감대가 있다면 제발 이러지 말라", "북한군하고 (5·18 민주화운동이) 관계가 있느냐", "최소한의 인간이라면 공감대를 좀 가지라"며 격한 발언을 쏟아내기도 했습니다.
결국, 신 위원장은 "진화위에 대한 현안질의가 의미가 없기 때문에 이석해주길 바란다"며 사태를 수습했습니다.
박 위원장은 "질의를 안 하겠다고 하니 이석하겠다"며 회의장을 떠났습니다.
박 위원장은 이미 지난해 12월 23일 행안위 전체회의에서 민주당 의원들의 요구로 퇴장당한 바 있습니다.
당시 민주당 의원들은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사태 후 박 위원장을 임명했기 때문에 임명 자체가 무효라고 주장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