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한국인 재택근무 40개국 중 가장 적어…일주일에 0.5일

한국인 재택근무 40개국 중 가장 적어…일주일에 0.5일
한국인은 재택근무하는 날이 일주일에 0.5일에 그쳐 전세계 40개국 중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지시간 21일 영국 시사지 이코노미스트는 미 스탠퍼드대 연구진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40개국 대졸자 만 6천 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 현황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고 보도했습니다.

응답자들은 일주일에 평균 1.3일 재택근무를 해 2023년 같은 기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국가별로 보면 한국인은 약 0.5일로 나타나 재택근무를 가장 적게 하는 것으로 파악됐고, 캐나다가 1.9일로 재택근무를 가장 많이 했고, 영국 1.8일, 미국 1.6일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이 0.7일, 중국이 0.6일로 한국보다 많았습니다.

이처럼 나라에 따라 재택근무 비중이 격차를 보이는 것은 국가별로 산업 분야, 코로나19 대응, 재정 수준 등이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문화적 차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습니다.

즉 사회 분위기가 개인주의적인지, 집단주의적인지에 따라 재택근무를 받아들이는 경향이 달라진다는 분석으로, 연구진은 기존 분석 모델을 적용해 40개국의 재택근무 호응도를 조사했더니 개인주의적 사회일수록 근로자들이 재택근무를 편안하게 받아들였으며, 임원들도 통제를 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연구진이 집단주의 정도와 재택근무 비중 간 연관성을 좌표로 찍었더니 집단주의가 강할수록 재택근무를 덜하는 추세가 뚜렸했습니다.

연구진은 그러나 재택근무가 젊은 세대에는 타격을 주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들이 동료를 만나고 생각을 공유하는 기회가 줄어들고, 숙련된 동료를 보고 배울 여지도 적어진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재택근무로 통근 부담이 줄어들면서 원거리까지 주택 수요를 넓힌다는 점에서 호재가 된다고 연구진은 덧붙였습니다.

실제로 미주에서는 2019년 이후 대도시 20곳의 집값 상승률이 13%로 나타난 반면 교외에서는 30%에서 50%까지 치솟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