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토허제 '한 달 해제'…1분기 아파트값 상승 송파구가 전국 1위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올해 1분기 서울 송파구의 아파트값이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강남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잠시 해제된 영향으로, 강남 3구와 강북 지역 간 아파트값 양극화는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이 오늘(20일) 발표한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1분기 서울 송파구의 아파트값은 4.28% 상승했습니다.

서울 전체 평균 상승률인 1.06%의 4배를 넘는 수치로,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입니다.

강남구와 서초구도 나란히 3.52% 올라 송파구에 이어 전국 2위를 기록했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월 14일 강남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언급한 데 이어, 2월 13일에는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 지역을 허가구역에서 제외했습니다.

이후 39일 만인 지난달(3월) 24일 다시 토지거래허가제를 확대 지정하기 전까지, 강남 3구를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급등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특히 토허제가 한동안 풀려 있었던 3월에 상승폭이 가장 컸습니다.

송파구의 아파트값은 1월 0.26%, 2월 1.35%, 3월에는 2.63% 오르며 상승폭이 커졌습니다.

강남구도 각각 0.04%, 0.83%, 2.62%를 기록했고, 서초구는 0.18%, 1.00%, 2.31%로 나타났습니다.

강남 외 지역 중에서는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을 포함한 정비사업 기대 지역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성동구는 1분기 1.34% 상승했고, 용산구는 1.27%, 양천구 1.13%, 마포구 1.09%, 강동구 1.07%로 서울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반면 강북 등지는 하락세를 이어가며 양극화가 더 뚜렷해졌습니다.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한 노원구(-0.23%), 도봉구(-0.17%), 강북구(-0.11%)와 함께 중랑구(-0.12%), 금천구(-0.11%), 동대문구(-0.09%), 구로구(-0.07%), 은평구(-0.05%) 등 8개 구는 강남 해제 기대감에 3월 들어 일부 상승 전환했지만, 1분기 전체로는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시가 1분기 3.41% 오르며 전국 4위를 기록했습니다.

강남과 가까운 과천시는 재건축 신축 아파트 선호도가 높고, 강남 해제의 낙수효과가 겹치면서 3월에만 2.73% 뛰어 강남 3구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1기 신도시 정비사업 기대가 있는 성남시 분당구는 1~2월 하락세였지만, 3월 들어 0.43% 오르며 분기 누적 0.25% 상승으로 전환됐습니다.

강남 해제의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의 3월 거래량도 크게 늘었습니다.

계약일 기준 20일 현재 거래량은 8천991건으로 9천 건에 육박했습니다.

지난달 24일 토허제가 다시 확대 지정된 뒤 강남 3구와 용산구는 거래가 끊겼고, 비강남권도 거래가 줄었지만, 거래 신고 마감일이 이달 말까지 열흘가량 남아 있어 전체 거래량은 1만 건 안팎까지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지난해 7월(9천223건)을 넘어, 2020년 7월(1만 1천143건) 이후 4년 8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