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흔드는 다양한 '관세 카드들'
02:11 미국이 가장 많이 수입하는 '10대 무역 파트너'는 어디일까? 한국은 몇 위?
02:33 미국이 원하는 결과를 아직 잘 모르겠다는 유럽연합(EU), 협상 불발 시엔 '강경 대응' 예고
05:40 트럼프 관세 첫 타깃이었던 멕시코, 보복보다는 '우대 조처 설득' 주력
07:25 누구보다도 강경한 맞대응에 나선 중국, '우군 확보' 시도하며 미국에 공동 대응 촉구
11:21 멕시코와는 사뭇 다른 캐나다, 보복 조치와 협조적 태도 병행
14:34 미국과 협상에 나선 일본, "교섭의 향후 진전은 아직 알 수 없어"
15:50 베트남 "대미 관세 0으로 낮추고 싶어"
16:47 적극 협상하겠다는 타이완, "우리 상황은 비교적 단순하다"
17:56 다른 국가들보다 협상에 훨씬 앞서 있다는 인도, "미국과 무역 규모 2배 늘릴 것"
19:29 비교적 낮은 관세 부과 받은 영국, '미래 산업'에서 협력 확대 모색
지난 대선 기간부터 스스로를 '관세맨'이라고 불렀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금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전쟁'을 벌이며 '보편 관세', '품목 관세', '상호 관세' 등 다양한 관세 카드를 꺼내 들고 있고,
이에 따라 각국은 저마다의 전략으로 미국의 관세 공세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은 보복 관세를 부과했다가, 미국의 유예 조치 이후 같은 방식으로 유예 조치를 취한 상태입니다.
또한, 미국과의 협의를 통해 상호 무관세 적용, 미국산 LNG 구매 확대 등의 방안을 제안하며 계속해서 협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미국 관세 폭탄의 주요 타깃인 중국의 경우, 최근까지 대미 보복 관세를 125%로 올리고, 희토류 광물과 자석의 미국 수출을 중단 하는 등 강경한 대응을 이어나가고 있고요.
어제 미국과 협상에 나섰던 일본은 이번 협상에서 미국에 관세 인하와 또 철폐를 요청을 했지만 해당 요청이 수용되지 않았고, 추가적인 논의를 해나가자는 상황입니다.
한국 역시 조만간 미국과의 협상이 예정돼 있어, 주요국들의 대응 전략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는 시점입니다.
'팩트는 기본 맥락까지 전해드리는 딥빽'에서는 미국이 가장 많이 수입하는 10개 무역 파트너 국가들의 대응 전략을 담은 콘텐츠를 만들어 봤습니다.
함께 보시죠!
#한국 #2025 #일본 #미국 #중국 #트럼프 #영국 #관세 #인도 #대만 #유럽 #캐나다 #멕시코 #비디오머그 #딥빽
==============================
취재·구성 : 김혜영 기자, 영상취재 : 주용진 기자, 영상편집 : 김초아, CG : 서현중, 장지혜, 이희문, 인턴 : 문소정, 조주현, 제작 : 디지털뉴스제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