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원자로 미 수출로 선도국 발판…민감국가 협력에 문제없음 방증"

화상브리핑 하는 주한규 원자력연 원장(아래)과 임인철 부원장(사진=연합뉴스)
▲ 화상브리핑 하는 주한규 원자력연 원장(아래)과 임인철 부원장

한국 컨소시엄이 원자력 종주국 미국에 연구용 원자로 기술을 수출하면서 연구로 수출 선도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번 수출을 주도한 임인철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원장은 오늘(1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자단과 화상 브리핑을 갖고 "이번에 계약을 맺은 초기설계 단계를 잘 수행해 개념설계와 기본설계 단계까지 끌고 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현대엔지니어링, 미국 MPR사로 구성된 컨소시엄은 현지시간 16일 미국 미주리대가 국제 경쟁입찰로 발주한 '차세대 연구로 사업' 첫 단계인 초기설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사업은 미주리대가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등을 위해 열출력 20㎿(메가와트)급 고성능 신규 연구로를 건설하기 위한 첫 단계입니다.

초기설계는 연구로 개념설계에 앞서 건설 부지 조건, 환경영향평가 등 설계 사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로, 계약 규모는 1천만 달러 약 142억 원 수준입니다.

임 부원장은 "향후 다음 단계로 이어질수록 규모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건설을 포함한 전체 사업 규모는 8~10년간 약 10억 달러 1조 4천204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이번 사업은 지난 2023년 4월 공고돼 아르헨티나 인밥, 미국 뉴스케일 등 7개 기업 컨소시엄이 참여했으며, 원자력연과 현대엔지니어링, 미국 MPR사로 구성된 한국 컨소시엄이 지난해 7월 최종협상대상자로 선정됐습니다.

임 부원장은 이번 수주의 성공 요인으로 컨소시엄 간 유기적 협력, 고밀도 우라늄 핵연료 기술과 연구로 수출을 통해 갖춘 경험, 정부의 지원 등을 꼽았습니다.

컨소시엄은 초기단계 다음 단계에 대해서도 최종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상태로 특별한 이변이 없는 한 다음 단계도 진출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관계자들은 설명했습니다.

임 부원장은 "초기단계 이후 개념설계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첫 단계를 수행하면서 2~3개월 후 추가 협상을 미주리대와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승원 현대엔지니어링 상무는 "초기에는 설계 참여 기업은 건설에 참여할 수 없다는 조건이 있었음에도 참여한 것은 핵심 기술 접목과 기술력 향상 목적이 컸다"며 "2단계에서 공사비 산정 등이 진행되는데 그 단계에서 보고 (계획을) 결정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미주리대 차세대 연구용원자로 수출(사진=원자력연 제공, 연합뉴스)


정부는 이번 수출이 연구로 기술 인정뿐 아니라 경제적 성과 등 다양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원자력 종주국인 미국 시장에서 기술 수출 성과를 거둔 것은 순수한 과학기술 성과뿐 아니라 한미 기술동맹, 산업 경제적 측면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며 "세계 연구로 수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시점에서 이번 수주는 우리가 연구로 수출 선도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청신호"라고 말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최근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중요성이 커지고 전 세계 200 여기 원자로 중 70% 이상이 40년 이상 노후되면서 향후 20년간 50기 이상 연구로 건설 수요가 전망된다며 기업 육성 및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이번 수출이 최근 불거진 민감국가 관련해서도 한미 간 협력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사례라며 해제를 위해서도 적극 협력하고 있다고 정부는 강조했습니다.

이 차관은 "민감국가 관련 미국 교섭하면서 한미 간 과학기술 동맹 관계를 훼손하는 일 없다는 미국 측 입장을 지속해 말했는데, 구체적으로 발생한 결과물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주한규 원자력연 원장도 "공교롭게 15일 민감국가 발효 앞뒤로 미국 에너지부 산하 아르곤연구소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연구로 수출 계약도 맺었는데, 미국에서는 민감국가 문제가 전혀 없는 것처럼 느껴지고 있다"며 "국내에서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는 걸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 두 건이 아닐까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원자력연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