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하버드는 정치적" 트럼프 공개저격…문화전쟁으로 번지나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적 명문인 하버드대를 공개적으로 저격했습니다. 반유대주의를 문제 삼으며 '질병'으로 규정했는데 하버드 측이 반기를 들면서, 미국 사회의 문화전쟁으로까지 번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윤창현 기자입니다.

<기자>

'하버드가 정치적이고 이념적이며, 테러리스트가 지지하는 '질병'을 계속 추진하면 세금을 물리겠다.'

트럼프 대통령이 반유대주의와 DEI, 즉 다양성, 평등, 포용 프로그램을 '질병'으로 규정하며, 하버드대를 공개 저격했습니다.

앞서 미국 정부는 하버드대에 지급할 예정인 22억 달러, 약 3조 원이 넘는 보조금을 삭감하고 6천만 달러의 계약도 동결했습니다.

[캐롤라인 래빗/백악관 대변인 : 어째서 미국 납세자들이 이미 수십억 달러를 보유한 대학에 보조금을 줘야 하나요? 그리고 심각한 반유대주의가 존재하는 곳에 자금을 지원해서는 안 됩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대학가의 가자전쟁 반대시위 이후 반유대주의를 빌미로 DEI 관련 프로그램을 폐지하고 입학 규정과 교수채용 절차까지 바꾸라고 대학들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독립성이나 헌법상 권리를 두고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며, "어떤 정부도 사립대학이 누구를 입학시킬지, 어떤 연구와 탐구를 추구할지 지시해서는 안된다"고 반기를 들었습니다.

MIT도 트럼프의 요구를 거부하고 나섰고 예일대 교수 수백 명과 스탠포드대 총장 등은 학문의 자유 보장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하버드 동문인 오바마 전 대통령도 학문 자유의 억압이라며 비판 대열에 올라섰습니다.

트럼프의 극우 강경 일변도의 정책 기조에 대한 불만 속에 트럼프가 촉발한 '문화전쟁'이 미국 사회 전반으로 번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김병직, 디자인 : 방민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