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당심 높이고 역선택 방지…"중도 확장 외면"

<앵커>

대선 경선 후보들을 추린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경선 규칙도 이미 확정했습니다. 양당 모두 지난 2021년 대선 경선 때보다는 당원들의 선택, 즉 당심의 비중이 커졌습니다.

이게 어떤 의미인지, 김기태 기자가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기자>

민주당은 지난 2021년 대선 경선 때는 당원과 국민에게 똑같이 1인 1표씩 배정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권리당원 투표자가 적을 경우, 가중치를 줘 국민 여론조사와 같은 비중으로 조정합니다.

당심과 민심 비중을 50%씩으로 같게 하는 건데, 결과적으로 4년 전보다 당심 비중이 커질 전망입니다.

[이춘석/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 : 정당의 주인인 당원들의 후보 선출 권리를 강화하는 것이 당원 주권을 강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민의힘은 지난 대선 경선 여론조사에서는 민주당 지지층의 응답을 따로 배제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의 응답만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상대 당 지지층이 조사에 응해, 일부러 약체 후보를 밀어주는, 이른바 '역선택'을 막겠다는 겁니다.

국민의힘은 이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지난 대선 이후인 2022년 12월 도입했습니다.

[이양수/국민의힘 사무총장 : 갑자기 생긴 조기 대선이라 역선택 방지조항을 없애야 하는 것 아니냐는 그런 의견들도 일부 있었습니다만 당헌 당규를 바꿀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김두관 전 경남지사는 당 대표를 연임한 이재명 경선 후보에게 유리한 방식이라며 민주당 경선을 거부했고, 유승민 전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했던 대선주자들에게 불리한 방식이라며 국민의힘 경선에 불참했습니다.

양당이 본선을 위한 중도 확장성을 외면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옵니다.

[최창렬/용인대 특임교수 : 국민들을 가능하면 많이 참여시키겠다는 국민 참여 경선 이런 정신에서는 두 정당이 다 좀 후퇴했다고 봐야겠죠. 두 정당이 다 기득권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김상일/정치평론가 : 지금 중도를 생각한다거나 아니면 본선 경쟁력을 생각한다거나 이런 건 없는 거죠.]

당심 비중을 키운 대선 경선이 일반 국민의 정치 참여의 길을 좁히는 결과로 이어질 거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공진구, 영상편집 : 이소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