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청장년 남성 68% "가족부양 위해 여성도 일해야"

청장년 남성 68% "가족부양 위해 여성도 일해야"
▲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우리 국민 청·장년층 10명 중 7명가량은 가족 부양을 위해 여성도 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6년 전에 비해 남녀 모두 이런 인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은지 선임연구위원 연구팀은 오늘(16일) 이런 내용이 담긴 '생애 전망의 유연성 증대와 가족정책의 미래 전망'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연구팀은 올해 25∼44세의 남성 1천396명, 여성 1천294명과 2019년 20~39세의 남성 3천301명, 여성 3천4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이제는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여성도 일해야 한다'고 답한 남성은 2019년 57.2%에서 올해 67.9%로 10.7%포인트 증가했습니다.

같은 질문에 여성은 2019년 65.4%에서 올해 73.3%로 7.9%포인트 늘었습니다.

'일하는 것은 여성이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한 남성은 2019년 44.2%에서 올해 63.5%로 19.3%포인트 늘었고, 여성은 2019년 69.3%에서 올해 80.7%로 11.4%포인트 올랐습니다.

'영유아 자녀를 둔 엄마가 일을 하면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답한 남성은 24.2%에서 22.6%로, 여성은 22.0%에서 18.4%로 각각 줄었습니다.

'학령기 자녀를 둔 엄마가 일하면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물음에도 남성은 19.3%에서 18.3%로, 여성도 14.4%에서 13.9%로 각각 감소했습니다.

올해 진행한 설문 항목 중 '이제는 가족을 돌보기 위해 남성도 시간을 내야 한다'고 응답한 남성과 여성은 각각 68.8%, 83.9%였습니다.

2019년 설문 당시 이와 유사한 질문이었던 '남성은 지금보다 가사노동을 더 많이 해야 한다'의 경우 남성은 45.9%, 여성은 76.7%였습니다.

가사나 육아 참여 등에 대한 남성의 긍정적인 인식이 6년 만에 22.9%포인트나 오른 셈입니다.

청년기의 삶에서 중요성 부여 영역

'여성이 행복하고 충만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자녀를 가져야 한다'에 답한 남성은 2019년 17.3%에서 올해 34.7%로, 여성은 10.0%에서 19.6%로 각각 두 배가량 상승했습니다.

'남성이 행복하고 충만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자녀가 있어야 한다'는 질문 역시, 남성은 19.0%에서 39.2%로, 여성은 12.6%에서 30.0%로 크게 올랐습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가족에 대한 지향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했다"며 "남성의 가족역할 지원을 통해 '전통적 가족'에서 '새로운 가족'으로 가족 정책의 균형점을 이동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사진=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