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지역 동반성장 협의체'를 구성하고 '동반성장 페어'를 개최하는 내용의 '제2차 경기도 공정경제 5개년 기본계획(2025~2029)'을 확정했다고 오늘(14일) 밝혔습니다.
공정경제 5개년 기본계획은 '경기도 경제민주화 지원 등에 관한 조례'에 따라 수립하며 2차 계획은 5개 분야 27개 사업으로 구성됐습니다.
올해의 경우 경기도형 납품대금·연동제 확산과 기술탈취 예방 등 공정거래 분야, 골목상권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 등 상생 분야, 소비자 분야, 노동 분야에 660억 원을 투입합니다.
특히 이번 계획에는 지역 동반성장 협의체 구성·운영과 상생주간 연계 동반성장 페어 개최, 상생결제 활성화 등 신규사업 6건이 포함됐습니다.
지역 동반성장 협의체는 지자체, 대기업, 동반성장위원회가 함께 지역 맞춤형 상생모델을 발굴·추진하는 체계로 연 2회 회의를 개최하며 상생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게 됩니다.
동반성장 페어는 대·중소기업 간 만남의 장을 마련해 협력사 입점, 기술·제품 구매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지원하는 종합 행사이며, 상생결제는 지자체가 용역이나 물품 구매 시 도급사와 하도급사로 직접 대금을 지급해 도급사뿐 아니라 하도급사까지 안정적으로 대금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제도입니다.
(사진=경기도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