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이재명 "AI 3대 강국으로 도약…투자 100조 원 시대 열겠다"

이재명 "AI 3대 강국으로 도약…투자 100조 원 시대 열겠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가 14일 서울 강남구 퓨리오사AI에서 백준호 대표 등 임직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는 "정부가 민간투자의 마중물이 돼 AI(인공지능) 관련 예산을 선진국을 넘는 수준까지 증액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AI 투자 100조 원 시대를 열고 'AI 세계 3대 강국'으로 우뚝 서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전 대표는 AI 반도체 설계 스타트업 퓨리오사AI 방문을 앞두고 소셜 미디어에 올린 글에서 "챗GPT와 딥시크는 세계를 놀라게 한 것처럼, AI는 세계 경제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라며 이같이 적었습니다.

이 전 대표는 특히 "AI 규제를 합리화할 것"이라며 "투자도 받기 전에 불합리한 AI규제로 위축되는 일이 없도록 면밀히 점검하겠다. 기업이 불필요한 규제에 시달리지 않고 개발에 몰두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AI 산업 생태계 조성 관련법, 특허법, 출입국관리법 등의 규제 특례를 적용받는 'AI 특구'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모든 국민이 선진국 수준의 AI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두의 AI'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는 구상도 밝혔습니다.

이 전 대표는 "이른바 '한국형 챗GPT'를 전 국민이 사용한다면 순식간에 수많은 데이터를 쌓을 수 있다"며 "이는 다른 산업과의 융합, 생산성 혁신, 신산업 창출로 이어질 것이다. 이를 통해 AI 산업융합을 주도해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전 대표는 "AI로 생산성이 높아지고 노동시간이 줄면 '워라밸이 가능한 AI 시대가 열릴 것"이라며 "무엇보다 사람의 생명을 담보로 성장하지 않아도 되는 안전 사회를 실현할 수 있다. AI로 금융·건강·식량·재난 리스크를 분석해 국민의 삶을 지키는 'AI 기본사회'를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전 대표는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강화하고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아 기술자, 연구자, 투자기업과 정부의 협력을 살필 것"이라며 "국가 AI 데이터 집적 클러스터를 조성해 글로벌 AI 허브의 기반을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AI 핵심 자산인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최소 5만 개 이상 확보하고 AI 전용 신경망처리장치(NPU) 개발과 실증을 적극 지원해 기술 주권을 확보하겠다"며 "기업의 연구 개발 지원을 위한 공공 데이터도 민간에 적극 개방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 전 대표는 또 "국제협력으로 글로벌 AI 이니셔티브를 확보하겠다. 글로벌 AI 공동투자기금을 조성하고 협력국 공용 기술을 개발할 것"이라며 "태평양, 인도, 중동 국가까지 협력을 확대하면 (협력망에 들어오는) 디지털 인구가 10억 명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인재 육성 방안도 소개했습니다.

이 전 대표는 "AI 성패는 사람의 역량에 달렸다"며 "우리는 가난한 나라에서 빠른 속도로 성장해 세계 10대 경제강국 대열에 올랐다. 양적 성장만 보고 달리느라 빼먹은 것을 채워야 할 시기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를 키우겠다"고 적었습니다.

이를 위해 ▲ AI를 위한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 강화 ▲ 지역별 거점대학에 AI 단과대학 설립 ▲ AI 분야 우수 인재의 병역특례 확대 ▲ 해외 인재 유치 ▲ 제조업·ICT·뷰티산업·방위산업 등과 연계한 융복합 인재육성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 전 대표는 "구글의 CEO인 선다 피차이는 'AI가 인류에게 불이나 전기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며 "추격국가가 아닌 선도국가가 돼야 한다. K이니셔티브를 위해 AI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