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어제(10일)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이재명 민주당 전 대표가 오늘은 국가의 부는 기업이 창출한다며 기업에 대대적 투자를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이 전 대표는 앞서 두 차례 대선 도전 때보다 더 절박해졌고 더 큰 책임감을 느낀다고도 말했습니다.
김상민 기자입니다.
<기자>
대선 출사표에서 'K-이니셔티브', 즉 세계 선도 국가라는 화두를 던진 이재명 민주당 전 대표.
오늘은 국회를 찾아 자신의 정치 비전을 설명했습니다.
냉혹한 글로벌 전장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이제는 '모방'에서 '주도'로, 패러다임을 전환하자는 겁니다.
"이념과 진영 대결은 거대한 생존 문제 앞에 모두 사소한 일일 뿐"이라며 기업에 대한 국가의 과감한 투자를 강조했습니다.
[이재명/민주당 전 대표 : 국가의 부는 기업이 창출하죠. 또 국가 간 경쟁을 넘어선 글로벌 경쟁은 기업이 하는 겁니다. 정부의 역할이 더 중요한 시대가 다시 도래했다….]
앞선 두 차례 대선 도전 때와 달라진 게 뭐냐는 질문에는 좀 더 절박해졌고, 좀 더 간절해졌고, 좀 더 큰 책임감을 느낀다고 했습니다.
오늘 발표회에는 선거 캠프의 핵심 인사들만 대동했는데, 친명 색채가 옅은 인사들과 문재인 정부 출신 인사들에 주요 직책을 맡겨 원팀 이미지를 부각하려 했다는 평입니다.
민주당 특별당규위원회는 경선 규칙 논의를 마무리했습니다.
[이춘석/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 : 모든 후보가 다 불만을 가지는 안을 만들어내는 것이 저희 준비위원들에게 주어진 소명이라고 생각하고….]
지난 두 차례 대선 때처럼, 권리당원과 일반국민을 모두 선거인단으로 포함시켜 투표를 진행하는 국민경선과, 권리당원 투표 50%, 여론조사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국민참여경선을 놓고 논의해 오다, 국민참여경선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국민경선 방식으로 치러진 지난 2021년 대선 경선에서는, 막판에 이 전 대표에게 이낙연 전 총리가 따라붙으면서 이 전 대표가 자칫 과반 득표를 못 얻을 뻔했습니다.
경선 규칙은 당원토론회와 의원총회를 거쳐 최종안이 마련되고, 이후 당 중앙위원회 등을 거쳐 확정되는데, 비명계 김두관 전 경남지사와 김동연 경기지사 측은 완전국민경선이나 적어도 2021년과 같은 국민경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 전 대표는 어떤 결정도 수용하겠다는 입장만 낸 상태입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 영상편집 : 김호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