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일본 도쿄 사찰 고려대장경 등 목판 인쇄물, 세계기록유산 됐다

일본 도쿄 사찰 고려대장경 등 목판 인쇄물, 세계기록유산 됐다
▲ 일본 조조지 소장 고려대장경 목판 인쇄물 '무량수경' 일부

일본 도쿄 사찰인 조조지(增上寺)가 소장한 고려대장경 등 목판 인쇄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습니다.

일본 문부과학성에 따르면 유네스코 집행이사회는 1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회의를 열어 '조조지가 소장한 3종의 불교 성전(聖典) 총서'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조조지 불교 성전은 중국 남송 시대(12세기)와 원나라 시대(13세기), 한국 고려 시대(13세기) 때 대장경 목판으로 찍은 불교 인쇄물입니다.

17세기 초 에도 막부를 연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일본 전국에서 수집해 조조지에 기증한 것으로 중국과 고려 인쇄물을 합치면 약 1만 2천 점에 이릅니다.

문부과학성에 따르면 이 자료는 남송시대 대장경 5천342첩, 원나라 시대 대장경 5천228첩, 고려대장경 1천357책으로 구성됩니다.

문부과학성은 "많은 대장경이 왕조 변천과 전란으로 흩어져 없어진 가운데 15세기 이전에 만들어진 3개 대장경이 거의 완전한 상태로 있는 것은 세계에서 유례가 없다"고 유산 가치를 설명했습니다.

조조지는 해당 유산에 대해 "대장경이 활판 인쇄돼 널리 유통되면서 불교는 근대적 학문의 대상이 됐고, 현대에는 최첨단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아카이브가 구축됐다"며 "지속 가능한 지구 평화와 조화를 위한 세계 정신문화사의 일환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일본 정부가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 심사에서 반려됐던 것으로 알려진 조조지 불교 성전을 2023년 재신청하겠다고 발표했을 당시 한국에서는 다른 나라 유물을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려 한다는 점에서 비판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세계기록유산은 유네스코가 귀중한 기록물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 가치 있는 기록유산을 선정하는 사업으로 다른 나라에서 기원한 기록물을 신청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한편, 일본이 조조지 목판 인쇄물과 함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한 '히로시마 원폭의 시각적 자료 - 1945년 사진과 영상'은 이번 등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사진=문부과학성 자료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