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범석 차관, 범정부 국내대응 전담반 회의
정부는 오늘(10일)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통상 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 대응 태스크포스(TF)를 열어 미국의 글로벌 관세부과에 대한 분야별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기획재정부는 미국 철강·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가 시행 중인 상황에서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에도 여전히 불확실성은 커 경제 전 분야에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기존 대응체계를 통상 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 대응 TF로 확대·운영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TF는 글로벌 관세 부과에 따른 부문별 영향을 심층 분석하기 위해 산하 거시경제, 금융, 산업, 중기, 정보통신기술(ICT), 바이오헬스, 농수산, 공급망 등 8개 작업반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부처 간 신속한 정보 공유와 공동 작업을 통해 관세 피해 분야 점검과 대응을 논의하는 한편 글로벌 관세전쟁 동향이 수시로 변하고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따른 무역·산업·공급망 변화 등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해법도 논의할 계획입니다.
김 차관은 아울러 관계부처와 최근 외환시장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그는 "최근 미국 상호관세 부과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진 만큼 정부는 현재 시장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국제 금융시장 전반, 주요 국가들의 상황 등과 비교해 국내 시장 변동성이 지나치게 확대되는지에 경계감을 가지고 살펴보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