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중국이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84%까지 올렸습니다. 미국 기업들에 대한 각종 규제도 잇달아 발표했습니다.
보도에 홍영재 기자입니다.
<기자>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가 현지 시간 오늘 낮 12시 1분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예고했던 보복관세를 34%에서 84%로 인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중국에 54% 관세를 부과한 뒤 50%를 더해 누적 104%의 관세를 적용하자 중국이 다시 맞대응에 나선 겁니다.
중국 정부는 미국의 50% 추가 관세 조치를 세계무역기구, WTO에도 제소했습니다.
미국 기업들에 대한 추가 규제 조치도 발표했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 군수기업 6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에 추가하고 렌즈 제조, 바이오, 드론 등 미국 기업 12곳에 대해서도 이중용도 물자 수출을 통제하기로 했습니다.
미중간 관세 전쟁의 여파는 환율로도 확대되는 모양샙니다.
중국 인민은행은 달러대비 위안화 기준환율을 지난 2023년 9월 이후 가장 약세인 7.2066위안에 고시했습니다.
지난 2일 1달러당 7.1793위안을 시작으로 5거래일 연속 위안화 가치를 떨어뜨린 겁니다.
이로 인해 시장 거래환율이 한때 7.4위안에 달해 2010년 이후 위안화 가치가 최약세를 기록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발끈하며 '관세보다 더 나쁜 비관세 장벽, 환율조작'이라 직격했습니다.
[트럼프/미국 대통령 : 그들이 오늘 관세에 대한 상쇄로 환율을 조작하고 있다면, 그렇게 해서는 안 됩니다.]
트럼프 행정부 1기 당시에도 중국은 위안화를 10% 이상 평가절하해 수출 가격을 낮추는 식으로 미국의 관세 부과 효과를 상쇄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한 바 있습니다.
(영상편집 : 우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