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개발은행(ADB)이 올해 한국 경제가 1.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넉 달 만에 전망치를 또다시 하향 조정한 것입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영향을 반영하지 않은 전망치여서 추가로 하향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오늘(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ADB는 오늘 발표한 '2025년 아시아 경제 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1.5%로 제시했습니다.
ADB는 지난해 9월까지 올해 성장률 전망을 2.3%로 유지하다가 12월 0.3%포인트(p) 낮춘 2.0%를 제시한 뒤 이번에 0.5%p를 더 내렸습니다.
ADB는 고금리, 가계 부채, 정치적 불확실성 등에 기인한 민간 소비 약화와 건설업 부진을 한국의 내부적인 하방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미국·중국과의 수출 경쟁 심화, 무역 불확실성 등은 대외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ADB는 인공지능(AI) 관련 반도체 수출 호조, 정부 지출 증가, 정치 안정, 확장적 통화 정책 효과 등에 따라 올해 하반기에는 한국의 성장세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에 따라 내년 성장률은 1.9%로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같은 전망에는 이달 2일 발표된 미국의 상호관세 영향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더욱 격화하며 세계 경제가 침체로 접어들고, 미국이 한국에 부과키로 한 관세율(25%) 협상이 지지부진해진다면 6∼7월에 발표할 보충 전망 때 추가 하향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ADB는 국제 유가 하락, 식료품·에너지 가격 안정세 등에 따라 한국의 올해 물가 상승률을 1.9%로 전망했습니다.
ADB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올해 경제 성장률을 지난해 12월 대비 0.1%p 올린 4.9%로 내다봤습니다.
내년 전망은 4.7%로 제시했습니다.
미국의 관세 조치와 무역 불확실성 확대, 중국의 부동산 부진 등이 성장세의 발목을 잡겠지만, 반도체 수요가 수출을 견인하고 물가 안정과 관광 회복이 수요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주요 국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중국 4.7%, 타이완 3.3%, 인도 6.7%, 싱가포르 2.6%, 베트남 6.6%로 제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