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홈플러스 공대위 발족…"회생계획에 노동자 생존권 반영해야"

홈플러스 공대위 발족…"회생계획에 노동자 생존권 반영해야"
▲ 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 노동자와 입점업체들이 공동대책위원회를 8일 발족해 생존권 보장을 위한 기업회생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공대위는 이날 오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발족 기자회견을 열어 "회생 계획에 구조조정과 점포 매각이 포함돼서는 안 된다"며 대국민 서명운동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공대위는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와 홈플러스지부가 사태 해결을 위해 정당, 노동·시민사회단체 10여곳과 구성한 것으로 진보·기본소득·사회민주·노동·녹색·정의당이 참여했습니다.

참여연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한국진보연대,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화물연대 서울경기본부 등도 동참했습니다.

공대위는 "(대주주)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 기업회생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고, 노동자와 입점업체의 생존권을 보장하는 진정한 기업회생 방안을 마련하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에는 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와 투기자본의 기업 인수를 막을 강력한 규제 법안 마련을, 국민연금과 금융당국에는 MBK에 대한 과도한 배당, 투자수익 구조 공개 등을 각각 요구했습니다.

안수용 마트노조 홈플러스 지부장은 이날 홈플러스 피해자 증언대회에서 "홈플러스 회생 계획서를 작성하면서 채권자들에 대한 계획만 논의하고 정작 현장 구성원들을 위한 계획은 전혀 의논하지 않고 있다"며 "10만명의 구성원이 다 함께 회생할 수 있는 계획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장정훈 화물연대 서울경기본부장은 "홈플러스에서 물품을 운송하는 화물노동자의 한 달 수입은 300만∼400만원"이라며 "점포매각과 폐점이 계속될 때마다 언제 쫓겨날지 모르는 불안감과 함께 물량이 줄어 수익이 감소해도 스스로 허리띠를 졸라매는 고통을 감내해왔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화물노동자들은 회사가 어려워 일터를 떠나야 한다고 하면 어떤 보상도, 대책도 없이 떠나야만 했다"며 "홈플러스 자산매각과 점포폐점 계획은 중단돼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최대영 마트노조 온라인배송지부 사무국장은 "지입차주들은 여기저기 빚지고 손을 벌려 어렵게 마련한 돈으로 홈플러스와 일하려고 차를 사고 로고를 도색하는 등 수천만 원을 투자했다"며 "홈플러스의 기업 회생은 우리를 죽음으로 내모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김병국 홈플러스 점주협의회 회장은 "여기 모인 모두의 바람은 '홈플러스의 정상화'이지만, 단 한 사람의 의지가 없다면 불가능하다"며 "(김병주 MBK 회장은) 말뿐인 사재출연, 진심 없는 회생 계획은 그만하고 사람을 살리는 진정한 정상화를 위한 행동을 보여달라"고 촉구했습니다.

공대위는 노동절인 다음 달 1일에는 MBK 사무실이 있는 서울 광화문 D타워 앞에서 3천명이 모이는 '국민대회'를 개최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