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병역 기피' 국적 회복 불허하려면 국적 상실 목적 종합 고려해야"

서울가정법원 서울행정법원 (사진=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
외국 국적을 취득해 한국 국적을 상실한 남성이 국적 회복을 신청했을 때 '병역 기피'를 이유로 불허하려면 국적 상실 시기와 목적, 경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병역 기피 목적이 있었다고 강하게 의심할 만한 사정이 있어야 한다고 법원이 판결했습니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2부(강재원 부장판사)는 최근 A 씨가 법무부 장관을 상대로 낸 국적 회복 불허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습니다.

1986년생인 A 씨는 만 16세였던 2002년 9월부터 주로 해외에서 교육받아오다 만 36세이던 2022년 7월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면서 한국 국적을 상실했습니다.

A 씨는 5개월 뒤인 같은 해 12월 법무부에 국적 회복 허가를 신청했지만, 법무부는 다음 해 10월 '병역 기피'와 '요건 미비'를 이유로 불허 결정했습니다.

그러자 A 씨는 중앙행정심판위원회에 불허 결정을 취소해달라고 청구했고, 기각되자 행정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재판부는 A 씨가 미국 시민권을 취득한 2022년 7월에 이미 병역 의무가 면제돼 A 씨가 병역 기피를 목적으로 국적을 상실했다고 볼 수 없다는 등의 이유로 A 씨의 국적을 회복시켜주는 게 맞다고 판단했습니다.

재판부는 원칙적으로 "병역 기피 목적으로 외국 국적을 취득해 한국 국적을 자동 상실한 사실이 밝혀질 경우 국적 회복을 불허할 필요성은 충분히 인정된다"고 판시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이 경우 사실관계에서 추단되는 막연한 의심만으로는 부족하고 외국 체류 목적, 외국 국적 취득, 한국 국적 상실 시기 및 목적과 경위, 외국 국적 취득 후 정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국적 상실 당시 병역 기피 목적이 있었다고 강하게 의심할 만한 사정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재판부는 "A 씨가 2018년 12월 4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국외 여행 허가 또는 국외 여행 기간 연장 허가를 받았으므로 그때까지는 병역 의무 이행이 연기된 것으로 간주된다"며 "A 씨는 병역 의무 이행이 연기되다가 만 36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 즉 2022년 1월 1일부터는 병역 의무가 면제됐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A 씨의 학업이 고등학교 교육 과정 이후 모두 미국 등 국외에서 이뤄진 점, A 씨가 국적 회복 허가 신청서에 '국가연구원 전문연구요원이나 주요 행정기관 사회복무요원 등으로 병역을 이행할 계획'이라고 기재한 점 등을 감안하면 A 씨가 병역 의무 이행 자체를 거부하고자 하는 적극적 의도가 있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