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 다윈항 홈페이지
호주 정부가 중국 기업 랜드브리지에 장기 임대된 북부 다윈항을 다시 사들이기 위한 협상에 착수하겠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는 다윈항을 "호주인의 손에 돌아가게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앨버니지 총리는 최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다윈항은 전략적 자산이며, 외국 기업이 이를 소유하는 것은 호주의 국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불확실한 국제 정세 속에서 정부가 직접 개입할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호주 정부는 현재 민간 연기금과 협력해 다윈항 인수 방안을 논의 중이며, 필요하다면 세금 투입을 통해 국가 자산화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윈항은 지난 2015년, 노던준주 정부가 중국 랜드브리지사에 약 5억 호주달러(한화 약 4,400억 원)에 99년간 임대 계약을 체결하면서 논란이 시작됐습니다.
이후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되고, 랜드브리지가 중국 공산당과 연계되어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계약 취소 요구가 거세졌습니다.
당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다윈항을 중국 기업에 임대한 사실을 사전에 통보받지 못한 데 대해 호주 정부를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랜드브리지가 자금난에 처한 보도가 나오며, 호주 정부는 항만 통제권 회복을 위한 방안을 본격 검토해 왔습니다. 이에 대해 랜드브리지 측은 다윈항 임대권은 매각 대상이 아니라고 밝힌 상태입니다.
한편, 파나마 운하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요청 이후, 미국 블랙록이 이끄는 컨소시엄이 파나마 항구 운영권을 인수하려 했으나, 중국 정부의 반발로 계약이 보류된 상황입니다.
앨버니지 총리는 오는 5월 3일 총선에서 승리할 경우, 가능한 한 빨리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외교적 논의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사진=호주 다윈항 홈페이지 캡처, 연합뉴스)